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우리나라 가야고분군 7곳을 통합 관리하는 재단법인이 대성동고분군이 있는 경남 김해시에서 출범했다.
경남도는 13일 김해시 관동동 국립가야역사문화센터에서 가야고분군 세계유산관리재단 출범식을 열었다.
경남 김해시 대성동고분군, 함안군 말이산고분군, 고성군 송학동고분군, 창녕군 교동·송현동고분군, 합천군 옥전고분군, 경북 고령군 지산동고분군, 전북 남원시 유곡리·두락리고분군은 2023년 9월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
재단은 경남, 경북, 전북 등 3개 도와 7개 시·군에 퍼져있는 유네스코 가야고분군 7곳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보존하기 위해 설치됐다.
앞으로 가야고분군의 효율적 통합 관리, 유네스코 정기 보고서 작성, 국내외 홍보 및 교류, 역사문화관광 콘텐츠 개발 등을 맡게 된다.
또한 전문교육과 학술심포지엄 개최, 주민참여 프로그램 운영, 박람회 참가 등 사업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지역별 산재한 고분군의 지자체별 보존관리 체계의 편차를 최소화하고 일관성 있는 보존, 연구, 활용하면서 가야고분군의 가치를 널리 알릴 방침이다.
재단 운영비는 10개 지자체가 공동으로 관리재단에 재산을 출연하고 공무원을 파견하면서 부담한다.
이날 '일곱 개의 이야기, 하나의 가야'란 주제로 열린 재단 출범식에는 국가유산청과 가야고분군이 있는 10개 지자체 관계자 등 400여명이 모였다.
참석한 박완수 도지사와 최학범 경남도의회 의장, 홍태용 김해시장, 조근제 함안군수, 성낙인 창녕군수, 이상근 고성군수, 김윤철 합천군수, 임종덕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장, 이정석 전북도 문화체육관광국장, 김병곤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 김충복 고령군 부군수, 박준기 남원시 문화관광교육국장 등은 재단 출범을 축하했다.
박 도지사는 "가야의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후손에게 이어가는 것은 우리의 책임이자 의무"라며 "관리재단이 그 중심에서 역할을 다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가야고분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고 관리재단이 출범하게 된 것은 가야역사가 과거 사라진 역사가 아니라 인류 역사로 인정받았다는 것"이라며 "가야의 흔적을 발굴하고 계승하는 노력이 이번 재단 출범을 통해 새로운 역사 인식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영남취재본부 이세령 기자 ryeong@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