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쌀 수확기 수급 안정 대책' 발표
문금주 "기후변화 농작물 피해 대책 마련"
농림축산식품부가 13일 폭염 등 이상기온으로 대규모 피해를 입은 '깨씨무늬병 벼'를 전량 매입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한 '2025년 쌀 수확기 수급안정대책'을 발표했다.
이는 더불어민주당 문금주 의원(전남 고흥·보성·장흥·강진)이 농식품부에 지속적으로 요청해온 내용이 반영된 결과로, 기후변화로 어려움을 겪는 농가에 단비가 될 전망이다.
그러나 이번 대책만으론 늘어나는 농작물 피해를 감당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벼와 함께 최근 전국에서 확산하고 있는 쪽파 병해 등 기후변화로 인한 농업재해가 심각해짐에 따라 농업재해 공식 인정 범위 확대 및 재해보험 제도 개선 등 근본적 대책 마련이 절실한 실정이다.
올여름 기록적 폭염은 전남지역에 특히 심각했다. 전국 평균보다 4.2일 더 긴 31.8일의 폭염일수를 기록했으며, 벼 생육기(7~9월)에는 평년 대비 최고기온이 최대 3.5도 높아 벼 생육 및 등숙(알이 여무는 과정)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쳤다.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급속히 확산되는 깨씨무늬병은 감염 시 수확량이 최대 37% 감소하고 품질도 저하시키는데, 지난 1일 기준 전남지역 발병 면적은 1만3,337ha로 전국 총발병 면적의 3분의 1을 넘어서며 전년대비 3.7배, 평년대비 2.1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쪽파 농가도 기후변화의 직격탄을 맞았다. 전남 보성지역 150여농가(재배면적 120ha)에서는 노균병, 잿빛곰팡이병 등 다양한 병해가 창궐했다. 지난달 보성 강우일수는 전년대비 2배 많은 18일에 달했고, 평균기온은 쪽파 생육 적정온도인 20도를 크게 웃도는 23도를 기록했다. 충남 아산과 경북 예천 등 전국 주요 재배지에서도 유사한 피해가 보고돼 농민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문 의원은 "깨씨무늬병 피해 벼 전량 매입 방안이 포함된 것은 환영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농가가 떠안게 해서는 안 된다"며 "벼 깨씨무늬병과 쪽파 병해를 농업재해로 인정하고, 쪽파의 연중 상시 재해보험 가입이 가능하도록 제도 개선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호남취재본부 강성수 기자 soostar@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