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카자흐스탄 신도시 개발 로드쇼 15일 서울서 개최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알라타우 신도시 개발 참여 기회

오는 15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카자흐스탄 국가 프로젝트 '알라타우 신도시(Alatau City)' 개발을 위한 국제 로드쇼가 열린다.


카자흐스탄 정부와 고려인 기업(삼정KPMG 자문)이 공동 주최하는 이번 행사는 한국·카자흐스탄 양자 협력을 강화하고, 한국의 축적된 산업 발전 경험과 첨단 기술을 카자흐스탄 신도시 개발 기회에 접목시키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카낫 보줌바예프 카자흐스탄 부총리를 비롯한 카자흐스탄 5개 중앙부처 차관이 방한해, 수소경제·미래 모빌리티 등 첨단산업 협력과 양국 정부 간 협력 채널(G2G) 강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알라타우 신도시는 카자흐스탄을 실크로드 중심의 글로벌 혁신도시 및 첨단산업 거점으로 도약시키기 위한 국가 프로젝트다. 이는 기존 천연자원(석유·가스·광물) 중심의 경제 구조를 첨단 제조업과 혁신 서비스 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핵심 정책으로, 카자흐스탄 토지와 자본에 한국의 첨단기술이 결합할 경우, '신(新) 실크로드 혁신 생태계'가 탄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프로젝트는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이 직접 경제특구(SEZ, Special Economic Zone) 법령 제정을 주도하고, 싱가포르 수르바나 주롱(Surbana Jurong)의 마스터플랜, 중국 선전(Shenzhen)의 산업 육성 모델, 한국의 첨단산업 성장 로드맵 등을 벤치마킹하며 추진 중이다.


특히 고려인 경제인 네트워크의 핵심 인물들이 싱크탱크로 참여해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다. 이들은 한국 기술을 카자흐스탄 경제성장의 자양분으로 평가하며, 지경학적 위기를 역이용해 카자흐스탄의 건강한 산업주권 확립을 위해서는 한국의 첨단기술을 반드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알라타우 신도시는 도심항공교통(UAM), 로보택시, 수소경제, 배터리 순환경제 등 미래산업을 핵심 성장축으로 선정했다. 이를 위해 한국의 신산업 정책 경험과 EPC(설계·조달·시공) 인프라 구축 역량, R&D 샌드박스, 과학기술 인재 양성 체계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KIND(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 한국전력기술 등 국내 주요 기관·기업들과 협의를 시작했으며, 인프라 구축 노하우와 자본을 바탕으로 협력 모델을 구체화하고 있다.


향후 알라타우 신도시 내에서는 AI 기반 원격주행·공간컴퓨팅 산업으로 확장되는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와, 수소버스·수소트럭을 활용한 친환경 교통·물류 인프라가 단계적으로 구축될 전망이다.





권현지 기자 hjk@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