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위성영상서 방류 징후 포착"
북, 2013년 이후 통보 합의 미 이행
북한이 사전 통보 없이 임진강 상류 황강댐에서 물을 방류한 것으로 정부가 파악했다. 임진강 수위는 이미 행락객 대피 기준을 넘어선 상태다.
12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남북 공유 하천인 임진강 상류 황강댐의 방류 여부를 위성영상 등을 통해 감시 중"이라며 "11일 오후 11시 촬영된 영상에서 방류 징후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앞서 경기 연천군은 이날 오전 3시 50분쯤 "임진강 상류 황강댐에서 물이 방류 중인 것으로 보인다"는 통보를 군남댐 관계자로부터 받았다고 전했다.
임진강 유역은 지난 10일부터 비가 이어지고 있으며, 13~14일에도 강한 비가 예보돼 있다. 정부는 북한이 홍수 조절 용량 확보를 위해 댐 수위를 낮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북한은 이번에도 방류 사실을 남측에 사전 통보하지 않았다. 2009년 9월, 북한이 예고 없이 황강댐을 방류해 하류에서 인명 피해가 발생하자 같은 해 10월 남북은 '댐 방류 시 사전 통보'에 합의했지만, 북한은 2013년을 끝으로 해당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
현재 임진강 최북단인 연천군 필승교의 수위는 이날 0시 기준 하천 행락객 대피 기준(1m)을 넘었으며, 오전 10시 50분 현재 1.86m까지 상승했다.
경기도와 연천군은 수위 상승 직후 주민과 행락객에게 재난문자를 발송하고 접근 자제를 당부했다. 필승교 수위가 2m를 넘으면 비홍수기 인명 대피 단계, 7.5m는 접경지역 위기 대응 '관심', 12m는 '주의' 단계가 각각 발령된다.
김희윤 기자 film4h@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