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캄보디아서 고문당해 숨진 대학생…정부 "빠른 시신 운구 협의"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자발적 가담 사례도 상당수… 구출 뒤 복귀"

외교부가 캄보디아에서 고문당해 숨진 한국인 대학생 시신의 송환이 늦어지는 것과 관련해 11일 "빠른 시일 내에 부검과 국내 시신 운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캄보디아 측과 계속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캄보디아 깜폿주 보코산 지역에서 지난 8월 사망한 채 발견된 대학생 A씨는 범죄조직의 고문에 따른 통증으로 인한 심장마비로 숨진 것으로 현지 경찰은 보고 있다.

캄보디아 프놈펜 전경. AFP연합뉴스

캄보디아 프놈펜 전경. AFP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외교부는 "주캄보디아대사관은 캄보디아 경찰로부터 A씨의 사망 사실을 통보받은 직후부터 캄보디아 측에 신속한 수사와 용의자에 대한 엄중한 법적 조치를 요청했다"며 "국내 유가족과 수시로 직접 소통하며 현지 수사 진행 상황과 부검 관련 절차를 안내하는 등 영사 조력을 제공했다"고 했다.


이어 "우리 경찰청 소속 부검의 참여 아래 현지 부검을 진행하기 위한 캄보디아 측 내부 절차가 지연되자 캄보디아 관계당국에 공한을 발송하고 수차례 면담을 진행해 캄보디아 측의 적극적인 협조를 지속해서 요청했다"며 "캄보디아 측과 소통 시마다 우리 국민 사망에 대한 강력한 유감을 지속 표명하고 조속한 관련 절차의 진행을 요청해 왔다"고 덧붙였다.


외교부는 감금 피해자가 현지 경찰에 신고할 때 절차를 간소화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 달라고 캄보디아 측에 요청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금은 감금 상황을 현지 경찰에 신고하려면 본인이 직접 연락해야 하며 경찰 측은 ▲신고자의 현재 위치 ▲연락처 ▲건물 사진(명칭 및 동·호수) ▲여권사본 ▲얼굴 사진 ▲본인 구조 요청 영상 등을 전송하라고 요구한다. 캄보디아 수사당국이 이런 복잡한 직접 신고 절차를 요구하는 이유는 과거 제3자 신고로 출동해보니 정작 당사자들이 감금 사실을 부인하고 잔류를 희망하는 등 사례가 지속 발생했기 때문인 것으로 관찰된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외교부는 캄보디아의 온라인스캠 시설에서 일하는 한국인이 늘어나고 있는데 자발적으로 가담하는 사례도 있다고 짚었다. 온라인스캠이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국내 가족에게는 비밀로 한 채 일하는 것이다. 외교부는 "구출된 후 대사관의 영사조력을 거부하고 한국 귀국 후 다시 캄보디아에 입국해 온라인스캠 시설로 복귀하는 경우도 상당수 있다"며 "이런 자발적 가담자들은 우리 국민에 대한 잠재적 보이스피싱 가해자로 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전영주 기자 ange@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