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김현지 관계에 의혹 제기
이태원 참사 유가족 모욕 이어 또 막말
민주당 법적 조치·사퇴 촉구 등 성명 발표
이태원 참사와 관련한 막말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려 사퇴 요구에 직면했던 국민의힘 김미나 경남 창원시의원이 최근 소셜미디어에 올린 글을 두고 또다시 막말 논란에 휩싸였다. 지난 8일 김 의원은 SNS 플랫폼인 스레드(Threads)의 본인 계정에 김현지 대통령실 부속실장에 대한 게시글을 올렸다.
이 글을 통해 김 의원은 "김현지와는 아무래도 경제공동체 같죠? 그렇지 않고서야 수십 년이나 저런 경제공동체 관계라는 건 뭔가 특별하지 않음 가능할까요? 예를 들자면 자식을 나눈 사이가 아니면?"이라고 주장했다. 해당 게시글은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 빠르게 확산했고 이를 본 누리꾼은 "명예훼손" "가짜뉴스 음모론 유포"라고 김 의원을 비판했다. 아울러 이태원 참사 유가족에 대한 막말로 최근 1심에서 손해배상을 해야 한다는 판결을 받았는데 공인으로서 또 막말해 부적절하다는 취지의 지적도 이어졌다.
해당 글은 현재 삭제된 상태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10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스레드에 가입한 지 얼마 안 됐는데, 삭제를 하려고 한 게 아니고 최초 게시 이후 여러 가지 물음표라든지, 이 표현, 저 표현 수정을 하던 중 삭제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공인으로서 부적절한 막말이라는 비판에 대해 "(김 실장에 대한) 여러 뉴스가 나오고 있다"고만 짤막하게 답했다.
한준호 "저잣거리에서나 볼 법한 유언비어…당 차원 고발"
김미나 의원의 막말에 여당 측에선 즉각 반발에 나섰다. 먼저 더불어민주당 경남도당은 논평을 내고 김 의원의 사퇴를 촉구했다. 민주당은 "법원은 (이태원 참사 관련) 김 의원 발언이 피해자들의 인격권을 침해하고 모욕적 인신공격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며 "이런 사회적·법적 경고에도 불구하고 김 의원은 반복적으로 망언을 쏟아내며 스스로 논란의 중심에 서기를 자처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끊임없이 막말과 음모론을 유포하는 건 의원 직무를 망각한 행위"라며 "국민의힘 지도부는 당 소속 의원의 책임감 없는 언행에 대해 단호히 조치하고 공당으로서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준호 최고위원은 10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김미나 창원시의원이 SNS에 올렸다가 지운 망언에 대해 응분의 책임을 묻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 최고위원은 "저잣거리에서나 볼 법한 유언비어를 버젓이 적었는데 뭐의 눈에는 뭐만 보인다더니 무슨 쓰레기 같은 망상 하고 살기에 이런 말 하면서 부끄러움도 못 느끼나"라고 반문했다.
그는 또 "이태원 참사 유가족을 향해서는 '시체팔이 족속'들이라 막말했다가 지난달 10일 1억4000만원을 배상한 지 한 달밖에 지나지 않았다"며, "그 더러운 버릇을 도저히 못 고치고 또 이런 글을 썼다. 이런 자가 다시는 정치권에 들어오지 못하게 해야 하지 않나"라고 비판했다. 나아가 한 최고위원은 "민주파출소 등을 통해서 가짜뉴스를 원천 차단하고 유언비어 유포자를 발본색원하도록 당 차원 대응이 필요하다"며 "김 시의원에 대해서는 고발을 포함해 강력한 조치를 당 차원에서 취하겠다"고 강조했다.

지난 5월 14일 서울중앙지방법원 서문 앞에서 열린 10.29 이태원참사 2차 가해한 김미나 창원시의원에 대한 손해배상 소송 제기 기자회견에서 유가족들이 손팻말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앞서 김 의원은 2022년 12월 본인의 SNS에 이태원 참사 피해자와 유가족을 향한 막말을 올렸다가 지역사회 안팎에서 잇따른 자진사퇴 요구에 시달렸다. 지난달 1심에서 손해배상 책임이 있다는 판결을 받았지만, 이에 불복해 항소한 상태다. 모욕 혐의로 기소된 형사재판 1·2심에서는 징역 3개월의 선고유예 판결을 받아 형이 확정됐다. 또 그는 12·3 계엄 이후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에 참여해 "반헌법적 비상계엄을 옹호했다"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