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22%·제주 20% 줄어…경기는 7% 증가
학령 인구 감소 장기화에도 수도권 소재 대학교의 총 재학생 수는 증가한 반면, 지방에서는 대학생이 계속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수도권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2016년 대비 0.9%(1만명) 증가한 약 117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인천(5만6000명→6만5000명)은 14.5%(9000명), 경기(34만9000명→37만6000명)는 7.5%(2만6000명) 각각 증가했다.
서울은 2016년 75만5000명에서 올해 73만1000명으로 3.2%(2만4000명) 줄었으나, 인천·경기 대학생의 증가 덕에 수도권 전체 대학생 수는 소폭 늘었다. 반면 지방 소재 대학 재학생은 2016년 137만2000명에서 올해 118만1000명으로 13.9%(19만명) 급감했다.
지역별로 살펴봐도 비수도권에서 대학생이 늘어난 시도는 한 곳도 없었다. 전남이 2016년 대비 올해 대학생 수가 22.3% 줄며 감소 폭이 가장 컸고 제주(20.7%), 경남(17.9%), 강원(17.4%)이 뒤를 이었다.
제2의 도시인 부산 역시 대학생이 16.5% 줄어들어 전국 시도에서 5번째로 감소율이 높았다. 전체 대학생(235만4000명) 가운데 수도권 소재 대학 재학생의 비율은 올해 기준 49.8%에 달했다. 서울·인천·경기의 대학 수(116개교)는 비수도권 대학교(216개교)의 절반가량이지만, 대학생 수는 대등한 셈이다.
2016년만 해도 수도권 대학생 비율은 전체의 45.9%였으나 수도권은 대학생이 지속해서 늘고 비수도권은 줄면서, 수도권이 비수도권을 추월하는 것은 기정사실화 된 상황이다.
대학생이 수도권으로 몰려갈수록 지방의 인재 부족은 심화되며, 수도권과의 경제 격차가 벌어지고 나아가 소멸 위기를 가속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역 인재가 고향을 떠나 수도권 대학교에 진학한 뒤 취업·거주하는 '두뇌 유출'이 심화하는 양상으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사회경제 격차가 더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진선미 의원은 "지역 인재 유출은 지역 경제의 미래 성장 동력이 소멸하는 국가적 위기의 전조증상"이라며 "정부가 지방대 육성 방안을 발표한 만큼, 단순한 지원 확대를 넘어 우수 교원과 기업 유치 등 실질적인 방안들이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지수 인턴기자 parkjisu09@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