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전체 대학생 절반이 "수도권에 다녀요"…지방은 이탈 가속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학령 인구 감소 장기화에도 수도권 소재 대학교의 총 재학생 수는 증가한 반면, 지방에서는 대학생이 계속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2016년 75만5000명에서 올해 73만1000명으로 3.2% 줄었으나, 인천·경기 대학생의 증가 덕에 수도권 전체 대학생 수는 소폭 늘었다.

반면 지방 소재 대학 재학생은 2016년 137만2000명에서 올해 118만1000명으로 13.9% 급감했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전남 22%·제주 20% 줄어…경기는 7% 증가

서울의 한 대학교의 학위 수여식에서 졸업생들이 사진촬영을 마친 후 이동하고 있다(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으로 직접적 관련 없음). 강진형 기자

서울의 한 대학교의 학위 수여식에서 졸업생들이 사진촬영을 마친 후 이동하고 있다(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으로 직접적 관련 없음). 강진형 기자

AD
원본보기 아이콘

학령 인구 감소 장기화에도 수도권 소재 대학교의 총 재학생 수는 증가한 반면, 지방에서는 대학생이 계속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수도권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2016년 대비 0.9%(1만명) 증가한 약 117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인천(5만6000명→6만5000명)은 14.5%(9000명), 경기(34만9000명→37만6000명)는 7.5%(2만6000명) 각각 증가했다.

서울은 2016년 75만5000명에서 올해 73만1000명으로 3.2%(2만4000명) 줄었으나, 인천·경기 대학생의 증가 덕에 수도권 전체 대학생 수는 소폭 늘었다. 반면 지방 소재 대학 재학생은 2016년 137만2000명에서 올해 118만1000명으로 13.9%(19만명) 급감했다.


지역별로 살펴봐도 비수도권에서 대학생이 늘어난 시도는 한 곳도 없었다. 전남이 2016년 대비 올해 대학생 수가 22.3% 줄며 감소 폭이 가장 컸고 제주(20.7%), 경남(17.9%), 강원(17.4%)이 뒤를 이었다.


제2의 도시인 부산 역시 대학생이 16.5% 줄어들어 전국 시도에서 5번째로 감소율이 높았다. 전체 대학생(235만4000명) 가운데 수도권 소재 대학 재학생의 비율은 올해 기준 49.8%에 달했다. 서울·인천·경기의 대학 수(116개교)는 비수도권 대학교(216개교)의 절반가량이지만, 대학생 수는 대등한 셈이다.

2016년만 해도 수도권 대학생 비율은 전체의 45.9%였으나 수도권은 대학생이 지속해서 늘고 비수도권은 줄면서, 수도권이 비수도권을 추월하는 것은 기정사실화 된 상황이다.


대학생이 수도권으로 몰려갈수록 지방의 인재 부족은 심화되며, 수도권과의 경제 격차가 벌어지고 나아가 소멸 위기를 가속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역 인재가 고향을 떠나 수도권 대학교에 진학한 뒤 취업·거주하는 '두뇌 유출'이 심화하는 양상으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사회경제 격차가 더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진선미 의원은 "지역 인재 유출은 지역 경제의 미래 성장 동력이 소멸하는 국가적 위기의 전조증상"이라며 "정부가 지방대 육성 방안을 발표한 만큼, 단순한 지원 확대를 넘어 우수 교원과 기업 유치 등 실질적인 방안들이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지수 인턴기자 parkjisu09@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