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혁신당 강경숙 의원, 교육부 제출 자료 공개
4년간 서울 소재 인문·사회계열 통폐합 학과 330개
경영 누적 242개, 경제도 63개 통폐합
문사철 상징 어문학도 급감…영어, 국어,중국어 등 순
수험생과 취업 현장의 이공계 선호 현상으로 인문·사회 계열 전공이 외면받는 가운데 최근 4년간 서울 소재 대학에서 통폐합된 관련 학과만 300개가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8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강경숙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2년부터 올해까지 서울 소재 대학에서 통폐합된 인문·사회 계열 학과는 총 330개였다. 연도별로 보면 2022년에는 87개, 2023년 53개, 2024년 90개, 2025년 100개의 인문·사회 계열 학과가 통폐합된 것으로 집계됐다.
인문·사회계열 학과 중 가장 많이 통폐합된 학과는 경영 계열이었다. 경영 계열 전공은 인문계에서 가장 입결(입시결과)이 높은 학과지만, 올해까지 누적 242개가 아예 사라지거나 다른 학과와 합쳐졌다. 경제 관련 학과도 63개가 통폐합됐다. 또 다른 인기 학과이자 사회대 입결 최상위로 꼽히는 언론·미디어 계열은 71개, 행정 계열은 52개, 사회복지와 교육 계열은 각각 46개가 통폐합됐다.
인문학의 근간을 이루는 세 축인 이른바 '문사철'(문학·역사·철학) 중 하나인 어문학 계열 역시 급감하는 추세다. 영어 관련 학과가 79개로 가장 많이 통폐합됐고 국어(54개), 중국어(50개), 일본어(49개), 독일어(19개), 프랑스어(17개)가 뒤를 이었다. 역사 계열은 31개, 철학 계열은 24개가 없어지거나 다른 학과에 흡수됐다.
강경숙 의원은 "인문계열을 포함한 기초학문이 잇따라 통폐합되는 현상은 단기적인 학과 구조조정에 그치지 않고, 미래 경쟁력까지 약화할 우려가 있다"며 "균형 잡힌 학문 생태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정부 지원을 확대하고 대학은 기초교양 강화를 포함한 자구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