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인생 말미에 기적, 와인 마셔줘야지" 건강 때문에 금주하던 노교수, 노벨상 받더니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값싼 와인 한 잔으로 소박한 축하"
기후·에너지 문제 해결 가능성 인정

올해 노벨화학상 공동 수상자로 이름을 올린 리처드 롭슨(88) 호주 멜버른대 명예교수가 노벨상 수상 소식을 접한 뒤 평소 술을 삼가던 오랜 습관을 깨고 오랜만에 와인 한 잔을 들며 뜻깊은 밤을 기념했다.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한 과학자 3인 중 한 명인 리처드 롭슨. AP연합뉴스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한 과학자 3인 중 한 명인 리처드 롭슨. AP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연합뉴스는 로이터통신 등 외신을 인용해 금주규칙을 깬 롭슨 교수의 사연을 보도했다. 롭슨 교수는 8일(현지시간), 스웨덴 왕립과학원으로부터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는 전화를 받았다. 공식 발표 약 30분 전이었다. 그는 멜버른 외곽 자택에서 아내와 함께 조용히 이 소식을 맞이했다.


인터뷰에서 롭슨 교수는 "저녁으로 생선을 요리했고, 식사 후엔 설거지를 했다"며 "오랜만에 값싼 와인을 한 잔 마시며 소박하게 축하했다"고 밝혔다. 건강 문제로 수년 전 음주를 중단했지만, 이날만큼은 예외를 뒀다는 것이다. 그는 이어 "이런 일이 인생의 마지막 구간에서 일어났다는 것이 믿기지 않는다"며 "무척 영광스럽지만, 동시에 어리둥절하기도 하다"고 심경을 전했다.

롭슨 교수는 금속 이온과 유기 분자가 결합해 형성되는 독특한 구조체, 이른바 '금속-유기 골격체(Metal-Organic Frameworks·MOF)'를 처음 고안한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MOF는 분자 수준의 미세한 기공(구멍)을 통해 다른 물질을 흡착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특성이 있어, 기후변화 대응 기술의 핵심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1937년 영국 요크셔에서 태어난 롭슨 교수는 옥스퍼드대에서 학사 및 박사 과정을 마친 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와 스탠퍼드대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다. 이후 1966년부터 멜버른대에 자리를 잡고 연구와 교육을 이어왔다.


1970년대 아이디어가 반세기 만에 결실

그가 MOF라는 개념을 처음 떠올린 것은 1974년으로, 멜버른대 무기화학과 강사로 재직 중일 때였다. 당시 1학년 강의용 교재 제작을 위해 나무 공과 막대로 결정구조 모형을 만들다가, 금속 이온과 유기 분자를 결합해 기하학적 골격 구조를 형성하는 아이디어를 얻게 됐다. 이후 10여년간 구상을 다듬은 그는 1989년경 구리 양이온을 기반으로 한 MOF 구조를 실험실에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초기 MOF는 구조적 불안정성으로 인해 쉽게 붕괴되는 한계를 지녔지만, 롭슨 교수가 제시한 개념은 일본 교토대의 기타가와 스스무 교수와 미국 UC버클리대의 오마르 야기 교수 등 후속 연구자들의 발전적인 연구로 이어졌다. 이들 역시 올해 노벨화학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됐다.


노벨위원회는 "롭슨 교수가 만든 초기 MOF는 비록 구조가 약했지만, 이후 수많은 과학자들에게 영감을 주었고 MOF 연구의 토대를 놓았다"고 평가했다. 기타가와 교수는 MOF의 기체 투과성과 유연성을 입증했고, 야기 교수는 안정성이 뛰어난 MOF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수만 종의 MOF가 개발됐으며, 이들 중 일부는 이산화탄소 포집, 물 부족 해결, 고밀도 에너지 저장 등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 활용되고 있다.


하이너 링케 노벨화학위원은 "MOF는 예측하지 못했던 방식으로 세상을 바꿀 수 있는 물질"이라며 "맞춤형 기능성 소재 개발을 가능하게 한 혁신"이라고 밝혔다.


멜버른대 마크 캐시디 연구부총장은 "롭슨 교수는 실험실에서 학생들과 연구하며 평생을 화학에 헌신해온 학자"라며 "오늘은 그 헌신이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날"이라고 전했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