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25%에 한국인 체포까지
"트럼프 환심 사기, 성과 없어"
현대차그룹이 도널트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전방위적인 투자를 단행했으나 괄목할 성과는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현대차그룹이 미국에 전방위적으로 매력 공세를 펼쳤지만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반응은 냉랭하기만 하다고 전했다.

미국 이민 단속 당국이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달 4일(현지시간)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에서 벌인 불법체류·고용 단속 현장 영상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 ICE 홈페이지. 연합뉴스
현대차는 지난해 11월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하자 그의 취임식에서 100만달러(약 14억원)를 기부했다. 이어 지난 3월에는 2028년까지 4년간 210억달러(약 29조9145억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하겠다고 발표했다.
다만 WSJ는 현대차의 이런 행보가 트럼프 대통령의 예측 불가능한 무역 정책에 대응하는 한편 미국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려는 전략이었으나, 지금까지는 고통스러운 오판으로 드러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대차는 25% 자동차 관세 부과를 피하지 못한 데 이어 지난달에는 조지아주에 위치한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 300여명이 미국 이민당국에 체포되는 고역을 겪기도 했다.
WSJ은 이 단속을 두고 "지난 1년간 트럼프 대통령의 환심을 사기 위해 끊임없이 애썼던 현대차의 노력에 성과가 별로 없었음을 보여준 극명한 결말이었다"고 분석했다.
박지수 인턴기자 parkjisu09@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