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동포청이 출범한 지 2년이 넘었지만, 해외 각 공관에 동포청 소속 동포 전담 인력(주재관)은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재외동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각국 공관 내 동포청 소속의 전담 영사는 0명이다. 동포청 관계자는 "주요 공관과 동포사회에서 민원과 불만이 폭주했으며, 동포 업무 전담 직원 파견 요청이 지속해서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다.
동포청 출범 전인 재외동포재단 시절에는 로스앤젤레스(LA), 뉴욕, 중국, 일본 등 7개 주요 공관에 전담 인력이 파견됐지만, 청 설립 이후 이 인력들이 전원 철수하면서 오히려 동포 업무가 후퇴한 것이다.
재외동포청은 외교부·행정안전부 등 관계부처와 동포 전담 영사(주재관) 직위 신설, 직무파견(비별도정원)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9월에는 재외동포가 많이 있는 LA·일본·중국 재외공관에 각 1명씩 동포청 직원을 파견하기로 했으나 이는 임시 직무파견에 그쳤다.
한편 외교부와 행안부는 동포 전담 영사(주재관) 직위 신설에 대해 "외교부 고유업무인 영사 업무와 중복된다"는 취지의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 의원은 "재외동포청 출범은 동포 사회의 큰 염원이었으나, 현 상황을 보면 출범 취지가 무색해졌다"며 "현장 중심의 동포정책 추진을 위해선 동포청의 안정적인 파견을 보장하는 법 제도적 정비가 시급해 보인다"고 했다.
황서율 기자 chestnut@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