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연사증후군, 전체 영아 사망 원인 8% 차지
전문가 “안전한 수면 환경 조성하는 것 중요”
돌 이전에 갑자기 숨진 영아가 지난해 50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는 8일 국가데이터처의 '2024년 사망원인통계'를 인용, 지난해 영아돌연사증후군(SIDS) 사망자가 47명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전체 영아 사망(출생 후 1년 이내 사망) 원인의 8.3%를 차지하는 수치로, 전년보다 2명 늘어난 것이다. 비중도 0.3%포인트 상승했다.
영아 돌연사 증후군은 만 1세 미만의 아기가 예기치 않게 숨졌으나 사인을 특정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
이는 출생 전후기에 기원한 특정 병태(45.2%), 선천 기형·변형 및 염색체 이상(18.4%)에 이어 영아 사망 원인 3위로 집계됐다. 인구 10만명당 사망률은 20.4명이다.
영아 돌연사 증후군은 대부분 수면 중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전문가들은 안전한 수면 환경 조성을 통해 돌연사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조언한다. 완벽한 예방은 어렵지만 질식으로 추정되는 사망은 예방 가능하다는 것이다.
문진수 서울대어린이병원 교수는 "아기를 부모와 한 침대에서 재우거나 엎드린 자세로 재우는 것, 푹신한 이불을 사용하는 것은 급사 위험을 높인다"고 강조했다. 영아는 목을 제대로 가누지 못하고 호흡하는 힘이 약해 푹신한 이불이 코를 덮거나 보호자가 몸을 누를 경우 질식할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아울러 문 교수는 "보호자가 흡연하지 않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는 영아 돌연사 예방을 위해 ▲돌 이전 아기는 반드시 똑바로 눕혀서 재울 것 ▲푹신한 침구류를 사용하지 말 것 ▲부모와 같은 침대에서 재우지 말 것 등을 권고했다.
또한 아기가 뒤집기를 시작하면 포대기(속싸개) 사용을 중단해야 하며, 아기의 자세를 고정하는 베개 받침 등도 피해야 한다고 전했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