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인생 가장 놀라운 일…휴대전화 작동도 이 연구 덕분"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올해 노벨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한 존 클라크 미국 UC버클리 교수가 "인생에서 가장 놀라운 일"이라는 소감을 전했다.

그는 자신들의 연구에 대해 "우리의 발견은 어떤 면에서 양자 컴퓨팅의 기반이라 할 수 있다"며 "당장 이것이 어디에 해당하는지는 내게 아주 명확하지는 않다"고 언급했다.

클라크 교수를 비롯한 3인은 거시적 크기의 시스템에서도 양자역학적 성질이 드러날 수 있음을 증명한 공로로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올해 노벨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한 존 클라크 미국 UC버클리 교수가 "인생에서 가장 놀라운 일"이라는 소감을 전했다.


올해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3인 중 1인인 존 클라크 미국 UC버클리 교수의 일러스트. 노벨위원회

올해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3인 중 1인인 존 클라크 미국 UC버클리 교수의 일러스트. 노벨위원회

AD
원본보기 아이콘

7일(현지시간)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클라크 교수는 이날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의 수상자 발표 직후 전화 연결을 통해 기자들에게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정말 깜짝 놀랐다"며 "노벨상의 기반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본 적이 전혀 없다"고 했다. 함께 수상한 미셸 드보레 예일대 교수, 존 마티니스 UC샌타바버라 교수에 대해서는 "그들의 공헌은 정말 압도적"이라며 경의를 표했다.


특히 클라크 교수는 휴대전화로 통화 중 "휴대전화가 작동하는 근본적인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이 모든 연구 덕분"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는 자신들의 연구에 대해 "우리의 발견은 어떤 면에서 양자 컴퓨팅의 기반이라 할 수 있다"며 "당장 이것이 어디에 해당하는지는 내게 아주 명확하지는 않다"고 언급했다.

클라크 교수를 비롯한 3인은 거시적 크기의 시스템에서도 양자역학적 성질이 드러날 수 있음을 증명한 공로로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노벨위원회는 양자역학이 오늘날 모든 디지털 기술의 기초이며, 양자 컴퓨터, 양자 암호, 양자 센서 등 차세대 양자기술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평했다.





이관주 기자 leekj5@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