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전자 회로에서 양자역학적 터널링과 에너지 준위 양자화를 실험으로 입증한 존 클라크(83), 미셸 H. 드보레(72), 존 M. 마티니스(67) 3인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한림원 노벨위원회는 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이들 3명을 선정했다고 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클라크는 영국 케임브리지 출신으로 미국 UC버클리 교수, 드보레는 프랑스 파리 출신으로 예일대와 UC산타바버라 교수다. 마티니스는 UC 산타바버라 교수다.
이들은 1984~1985년 초전도체로 만든 전자 회로(조지프슨 접합)를 이용해 거시적 크기의 시스템에서도 양자역학적 성질이 드러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올레 에릭손 노벨물리학상위원회 위원장은 "100년 된 양자역학이 여전히 새로운 놀라움을 준다는 점을 기념할 수 있어 기쁘다"며 "양자역학은 오늘날 모든 디지털 기술의 기초이며, 이번 발견은 양자컴퓨터, 양자암호, 양자센서 등 차세대 양자기술 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물리학상 상금은 총 1100만 스웨덴 크로나(약 16억4000만원)로, 수상자 3명이 균등하게 나눈다.
이관주 기자 leekj5@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