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현산, 혜택 일부라도 이행"…막바지 협상 학동4구역 재개발 조합원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학동4구역 재개발이 올해 내 착공을 목표로 한 총회를 앞둔 가운데 일부 조합원들이 "시공사가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는 이유로 먼저 제안했던 혜택 일부를 보장하라"며 막바지 협상을 벌이고 있다.

때문에 추진단은 이러한 내용을 최근 현산 측에 문의했으나, '공사비는 조합과 협의를 거친 상황이고, 총회에서 조합원들이 공사비에 대해 부결을 했으면 추가적인 논의가 이뤄졌을 것이다.

추진단 관계자는 "철거 붕괴 사고로 인해 5년 동안 사업이 지연됐다. 현산이 먼저 제안한 혜택은 핵심이 대부분 소멸해 쭉정이밖에 남지 않았다. 이는 대기업의 우월한 지위를 남용해 피해자를 겁박해 중요한 합의 사항을 철회한 것이다"며 "가해자인 현산은 지금이라도 가전제품, 입주축하금 등 1인당 5,000만원에 해당하는 합의사항이라도 이행할 것을 촉구한다"고 설명했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시공권 지킨다며 14가지 혜택 제안
물가상승 핑계로 혜택 없이 공사비만↑
추진단 "가전제품, 대물 변제 보장해야"
현산 "이미 총회에서 의결된 사항"

학동4구역 재개발 전경.

학동4구역 재개발 전경.

AD
원본보기 아이콘

학동4구역 재개발이 올해 내 착공을 목표로 한 총회를 앞둔 가운데 일부 조합원들이 "시공사가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는 이유로 먼저 제안했던 혜택 일부를 보장하라"며 막바지 협상을 벌이고 있다. 해당 조합원들은 시공사가 제안한 혜택 일부를 되살리는 것만으로도 공사비 인상에 따른 조합원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취지지만, 시공사는 총회에서 이미 의결된 사항이라며 추가적인 논의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7일 아시아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학동4구역 재개발 빠른사업추진단은 최근 HDC현대산업개발(현산)에 지난 2022년 6월께 현산이 먼저 제안한 내용을 일부 지켜줄 것을 요청했다.

앞서 지난 2021년 현산은 학동4구역 재개발 철거 작업을 하다 건물이 무너지면서 17명의 사상자를 냈다. 해당 참사로 시공사 교체 움직임이 벌어졌고, 현산은 시공권을 지키기 위해 혜택을 제안했다.


2022년 6월께 현산이 제안한 내용은 ▲마진을 남기지 않는 공사비인 평당 508만5,000원 ▲실 착공 후 추가 부담 없는 공사비 ▲세대당 1,000만원 입주 지원비 ▲외(국)산 마감재와 가전 일체 ▲미분양 발생 시 100% 대물변제 등 14가지다. 해당 조항에선 실 착공 이전까진 물가인상률을 적용해 공사비를 합의하도록 했다.


그러나 현산은 돌연 지난해 9월 원자잿값, 인건비 상승 등의 이유로 평당 공사비 698만원을 요구했고, 10개월여간 조합과 협상을 진행한 끝인 올해 6월 입주축하금, 가전제품 등의 혜택을 취소하는 조건으로 619만8,000원으로 결정됐다.

이와 함께 현산이 조합에 보낸 공문에는 미분양에 대해 최초 일반분양 가격으로 진행 시 대물변제 '가능'이란 단서를 달면서 올해 내로 착공이 이뤄지지 않는 경우 공사비 증액 협의 효력이 상실된다고 명시했다. 추진단은 지난 2022년 6월 '진정한 대물변제를 통한 조합원의 이익을 극대화하겠다'는 현산이 올해 들어서는 '가능'이란 단서 조항을 넣음으로써 미분양에 대한 피해를 자칫 조합이 떠안을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추진단 측에선 입주축하금, 가전제품 혜택과 미분양에 대한 대물변제만큼은 시공사에서 보장해줘야 한다고 주장한다. 해당 혜택이 취소된 것으로 인해 조합원에 오는 피해도 1억4,000만원대로 추진단은 추정하고 있다.


때문에 추진단은 이러한 내용을 최근 현산 측에 문의했으나, '(혜택 취소 등을 포함한)공사비는 조합과 협의를 거친 상황이고, 총회에서 조합원들이 공사비에 대해 부결을 했으면 추가적인 논의가 이뤄졌을 것이다. 지금은 곤란하다'는 답변만 돌아왔다.


추진단 관계자는 "철거 붕괴 사고로 인해 5년 동안 사업이 지연됐다. 현산이 먼저 제안한 혜택은 핵심이 대부분 소멸해 쭉정이밖에 남지 않았다. 이는 대기업의 우월한 지위를 남용해 피해자를 겁박해 중요한 합의 사항을 철회한 것이다"며 "가해자인 현산은 지금이라도 가전제품, 입주축하금 등 1인당 5,000만원에 해당하는 합의사항이라도 이행할 것을 촉구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현산 측의 입장을 듣기 위해 관계자에게 수차례 연락을 취했으나 받지 않았다.





호남취재본부 민찬기 기자 coldair@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