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구변화 및 사회인식 조사
성인 2500명 설문, 비관 답변 많아
미래 세대의 삶에 대한 불안감
국내 성인 절반 이상은 현재 자신의 생활 수준이 부모 세대보다 나아졌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미래 자녀 세대의 삶이 더 좋아질 것이라고 보는 시각은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는 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해 국내 20∼49세 성인 2500명을 대상으로 '인구 변화 및 사회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61.1%는 "현재 생활 수준이 부모 세대보다 좋아졌다"고 답했다. 구체적으로는 '약간 좋아졌다'(26.5%)와 '훨씬 좋아졌다'(34.6%)로 나뉘었다. 반면 '약간 나빠졌다'(10.4%) 또는 '훨씬 나빠졌다'(8.3%)는 응답은 18.7%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인과 비교해 앞으로 자녀 세대의 생활 수준이 어떻게 달라질 것 같으냐는 질문에는 낙관적인 응답이 줄었다. '훨씬 좋아질 것'(14.1%)과 '약간 좋아질 것'(28.2%)을 합쳐 42.3%에 그쳤다. 이는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반면 '지금과 차이가 거의 없을 것'이라는 응답이 28.8%, '약간 나빠질 것'(17.4%), '훨씬 나빠질 것'(11.5%) 등 부정적인 전망이 28.9%로 나타나 미래 세대의 삶에 대한 불안감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이번 조사는 연구팀이 독일 성인 2500명을 대상으로 동일한 질문을 실시해 비교·분석한 '독일인구정책사례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독일의 경우 부모 세대와 비교한 현재 생활 수준에 대해 '약간 좋아졌다'(31.9%)와 '훨씬 좋아졌다'(17.6%)를 합친 비율이 49.5%였다.
자녀 세대의 생활 수준에 대한 전망에서는 '훨씬 나빠질 것'(7.5%)과 '약간 나빠질 것'(18.7%)을 합친 26.2%만이 부정적으로 답해, 한국보다 미래 세대에 대한 인식이 다소 낙관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