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전청조 때문에 매매가 20억 하락"…초고가 시그니엘 어쩌나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시그니엘 전청조 이후 시세 급락
이미지 악화 브랜드 가치 추락 분석
"월세 안 받느니 공실로"

서울 초고가 주거지로 손꼽히는 롯데월드타워 시그니엘 레지던스가 최근 몇 년 사이 급격한 시세 하락과 이미지 악화를 겪고 있는 가운데, 매달 수백만 원의 관리비를 감수하면서도 공실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집주인의 사연이 알려졌다.


회계사 출신 유튜버 '터보832'는 최근 자신의 채널을 통해 시그니엘 레지던스의 실태를 조명했다. 영상에 따르면, 집주인 A씨는 3년 전 잠실동 롯데타워 내 시그니엘 레지던스 전용면적 181㎡(90A 타입)를 약 56억원에 매입했다. 그러나 최근 1년간 임대를 내놨음에도 세입자를 구하지 못한 채 빈 집으로 두고 있으며, 이 기간 동안 매달 약 320~330만원의 관리비를 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 초고가 주거지로 손꼽히는 롯데월드타워 시그니엘 레지던스가 최근 몇 년 사이 급격한 시세 하락과 이미지 악화를 겪고있다. 호텔롯데 제공

서울 초고가 주거지로 손꼽히는 롯데월드타워 시그니엘 레지던스가 최근 몇 년 사이 급격한 시세 하락과 이미지 악화를 겪고있다. 호텔롯데 제공

AD
원본보기 아이콘

A씨는 월세를 낮춰 받기보다는 '공실 유지'를 택했다. 터보832는 "1700만원 수준에 월세를 책정한 것으로 보이지만, 임차 수요가 붙지 않았다"며 "1년간 놓친 임대수익만 2~3억원, 관리비도 연 4000~6000만원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문제는 단순한 시세 하락이 아니라 이미지 훼손에 있다는 게 이 유튜버의 진단이다. 그는 "시그니엘은 최근 3년 사이 매매가가 20% 가까이 하락했다"며 "전청조 사건의 영향이 크다고 본다. 고급 브랜드, 고급 주거지의 '지위재' 특성이 무너지면서 초자산가 수요가 이탈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에 따르면 시그니엘 전용 190㎡는 2022년 11월 80억원(47층)에서 올해 4월 60억5000만원(50층)으로 20억원 넘게 하락했다. 전용 205㎡는 2022년 5월 78억원에서 올해 3월 69억8500만원까지 떨어졌다.


전청조 사건은 시그니엘 이미지에 결정타였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펜싱선수 남현희의 전 약혼자였던 전 씨는 시그니엘에 거주하며 고급 라이프스타일을 연출했지만, 실상은 3개월 단위의 월세계약자에 불과했다. 이외에도 코인 사기로 수억 원을 편취한 인물들이 해당 레지던스를 배경으로 활용하며 피해자들을 속이는 사례도 이어졌다.

유튜버는 "여기에는 BJ, 스트리머, 자칭 사업가들이 몰려들면서 '사기꾼의 성지'라는 낙인이 찍혔다"며 "고급 거주지를 홍보용으로 소비하고, 이상한 강의나 상품을 파는 등 부정적 바이럴이 누적됐다"고 지적했다.


실제 입주민들 사이에서는 고급 주택에 걸맞은 입주자 검증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미국처럼 입주 전 범죄 전력, 신용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절차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