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도쿄도 공식 앱 설문조사
20대 이하·30대 남 50%↑
기록적인 폭염으로 인해 일본 도쿄도의 남성 44%가 양산을 사용한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6일 마이니치신문과 니혼게이자이신문 등에 따르면 도쿄도는 지난달 9~23일 공식 앱을 통해 남녀 각각 4000명(응답자 기준)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남성 44%가 올해 여름 양산을 사용했다고 답했다. 남성의 양산 사용률을 연령대별로 보면 20대 이하와 30대는 50% 이상이었고 50대도 39%에 달했다. 이는 여성 91%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이긴 하지만, '양산은 여성의 전유물'이라는 그간의 사회적 인식이 많이 달라졌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는 결과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도쿄도는 올해 폭염을 계기로 남성의 양산 사용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했다. 일본은 지난 8월 5일 중부 군마현 이 세사 키 시의 최고기온이 41.8도까지 올라 기상 관측 사상 최고 기온을 기록하는 등 올해 전국적으로 예년보다 극심한 폭염에 시달렸다.
한편 올여름 국내에서도 양산이 폭염 속 '생존 아이템'으로 급부상했다. 양산은 외출 시 체감온도를 최대 10도까지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7월 기상청은 전국 시·도교육청에 '하굣길 양산 쓰기 캠페인 카드 뉴스'를 담은 공문을 보내 폭염 상황에서 학생들의 양산 활용을 독려해달라고 요청했다. 같은 기간 대구시도 '양산 ON, 폭염 OFF'를 슬로건으로 내걸고 출근길 시민들에게 양산 사용을 권장하는 캠페인을 벌였다.
실제로 양산은 폭염 피해 예방에 큰 효과가 있다. 서울시 산하기관 서울연구원이 2018년 발표한 자료를 보면 외출했을 때 양산을 쓸 경우 체감온도는 최대 10도까지 낮아진다. 일본 환경성의 실험에서도 양산을 쓰고 15분간 걸었을 때, 모자만 썼을 때보다 땀 발생량이 약 17%나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볕더위가 극심할 때 양산이 햇빛을 차단해 피부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이다.
이 밖에도 양산은 자외선을 차단해 온열질환은 물론 피부질환과 탈모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자외선 차단제의 효과는 약 2시간 정도에 불과하지만, 양산은 자외선을 99%까지 차단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가장 큰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양산을 선택할 때 바깥 면은 햇빛을 잘 반사하는 흰색 계열로, 안쪽은 땅의 복사열을 막아주는 검은색 계열로 고르는 것이 좋다. 또 변덕스러운 날씨에 대비해 방수 기능과 자외선 차단 코딩이 같이 돼 있어 평소에는 양산처럼 쓰다가 갑작스러운 비에는 우산으로 활용할 수 있는 우양산들 이용하는 것도 좋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