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친환경車 늘려야' 외치지만…충전인프라 예산 뒷걸음질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고속도로 수소충전소 51기 불과

고속도로 수소 충전시설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차 충전 여건도 좀처럼 나아지지 않는 상황인데 수소차는 더 열악하다. 정부가 친환경차 보급을 강조한 만큼 충전 인프라를 비롯한 기본적인 여건을 마련해줘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복기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도로공사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올해 8월 기준 고속도로 휴게소에 있는 수소차 충전기는 37곳 총 51기 수준이다. 같은 기간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는 1590기 정도다. 전기차 충전기의 3%를 갓 넘는 수준이다.

전국 휴게소는 211곳에 달하는데 수소 충전소는 전체의 17.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소차 충전이 가능한 휴게소가 전체 5곳 가운데 한 곳이 채 안 된다는 얘기다. 올해 들어 상반기를 훌쩍 넘긴 시점에서 늘어난 충전소는 2곳에 불과하다.


국회 수소충전소. 사진=김현민 기자 kimhyun81@

국회 수소충전소. 사진=김현민 기자 kimhyun81@

AD
원본보기 아이콘

국내 등록된 배터리 전기차는 82만대 정도다. 수소연료전지를 활용하는 수소차는 4만대가량 된다. 국내 등록된 연료별 차량 현황을 따져보면, 충전기 한 기당 전기차는 517대 정도인데 반해 수소차는 충전기 하나당 821대를 맡아야 한다.


한국도로공사는 전기차 충전기를 지난해 1479기에서 올해 1800기로 늘리기로 했다. 수소차 충전소는 150㎞ 이내 구간마다 한 곳 이상 구축하기로 했다. 확충 속도가 더디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수소 충전소의 경우 관련 예산이 줄어든 영향으로 풀이된다. 수소 충전 인프라 예산은 2023년 45억원에서 지난해 동결됐고 올해 들어서는 31억5000만원으로 30% 삭감됐다

충전소 구축에 필요한 지자체 인허가가 늦어진 데다 설치과정에서 주민 반대, 지장물 이전 등 크고 작은 변수가 불거지면서 당초 계획보다 늦어지는 일이 빈번한 것으로 전해졌다. 복 의원은 "예산 축소와 지연을 합리화할 것이 아니라 수소차 이용자 편의를 높일 실질적인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