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축 정책 항의…전국적 총파업 여파
시위대·경찰 충돌해 도로 마비되기도
프랑스 전역에서 정부의 긴축 재정에 반대하는 총파업 움직임이 거세지고 있다. 파리의 랜드마크인 에팔탑마저 폐쇄됐을 정도다.
지난 2일(현지시간) AP통신 등 외신 보도를 종합하면, 파리에서는 노동자, 학생, 퇴직자 수천명이 파업에 동참하고 있다. 이에 따른 여파로 에펠탑은 "파업으로 인해 폐쇄됐다"는 공지를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프랑스에선 지난달 초 '모든 것을 멈춰라(Bloquons Tout)' 시위가 벌어졌다. 시위대는 정부의 고강도 긴축 정책에 항의하고 있으며, 긴축안 철회·부유세 도입 등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달 10일에는 파리에서 시위대와 경찰이 충돌해 주요 도로 교통이 마비되기도 했다.
이번 파업에는 교사, 의료 종사자들도 동참했지만 모든 것을 멈춰라 당시 파업 규모에는 미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국영 철도회사 SNCF 일부 지역 노선이 차질을 빚고, 통근 열차가 감축 운행되는 등 여파는 상당했다.
프랑스 노동총연맹(CGT)은 전국적으로 약 60만명이 시위에 참가했다며 주장했다. 다만 프랑스 내무부는 시위대 규모를 19만5000명 수준으로 추산했다.
앞서 프랑수아 바이루 전 총리는 사회 복지, 연금 등 공공 지출을 삭감한 긴축 예산안을 제안했으나, 야당의 반발을 산 바 있다. 프랑스는 현재 공공 부채가 국가총생산(GDP) 대비 113.9%까지 치솟은 상태이며, 재정적자도 유럽연합(EU)이 정한 한계 비율인 GDP 대비 연간 3%의 두 배 가까이 기록했다.
지난달 8일 프랑스 하원은 바이루 전 총리에 대한 신임 투표에서 364명이 반대표를, 194명이 찬성표를 던져 불신임을 결정했다. 이로 인해 바이루 전 총리는 실각했으며,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세바스티앵 르코르뉘 전 국방장관을 신임 총리로 임명했다. AFP 통신에 따르면 르코르뉘 총리는 늦어도 5일 오후까지 새 내각을 발표할 예정이다. 매체는 "내각은 20~25명으로 소규모 내각을 구성할 것으로 보이며, 핵심 각료 다수는 자리를 지킬 것"이라고 전했다.
임주형 기자 skepped@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잠들기 전 '나 지금 얼마있지?' 은행 잔고 확인…10명 중 7명은 밤새 돈 걱정 [세계는Z금]](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92910272252732_1759109242.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