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대중교통 탄 이유가 특별한 경험? 설문조사로 본 한강버스 목적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한강버스 이용객 800명 설문조사
요금 합리적·실내 공간 쾌적 응답 많아
이용목적은 특별한 경험·경치감상

한강버스 초기 이용자 대부분이 타본 후 만족했다는 설문결과가 나왔다. 한강버스는 정식 운항 열흘 만에 문제가 생겨 한달가량 중단한 상태다.


서울시는 지난 달 24~26일과 28일 등 나흘간 한강버스 이용자 8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2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7개 선착장별 하선객이 통과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매 N번째 통과자를 무작위로 선정하는 현장 면접조사 방식으로 수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45%다.

지난달 18일 본격적인 운항에 들어간 한강버스가 서울 잠수교를  지나고 있다. 윤동주 기자

지난달 18일 본격적인 운항에 들어간 한강버스가 서울 잠수교를 지나고 있다. 윤동주 기자

AD
원본보기 아이콘

한강버스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를 물은 질문에 '만족한다'는 응답 비율은 86.3%(690명)를 차지했다. 성별로는 여성(88.0%)이 남성(84.4%)보다 만족한다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20대(91.7%)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이어 30대(88.4%), 50대(87.8%), 40대(86.3%), 70대 이상(80.8%), 60대(79.4%)의 순이었다.

만족한다고 답한 이유(복수 선택)로는 요금 합리성(53.2%)을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한강버스의 1회 이용 요금은 3000원이다. 그다음으로는 한강버스 실내 공간의 쾌적성(39.6%), 선착장까지 접근성(22.3%), 선박 승하차 과정 편리성(18.3%)의 답이 뒤를 이었다.


불만족한다고 답한 이유(복수 선택)로는 선착장까지 접근성(44.5%)이 가장 많았다. 이어 선박 승하차 과정(27.3%), 선착장 내부 대기시설(21.8%), 진동·소음·흔들림 등 운항 안정성(19.1%) 등의 의견이 나왔다. 가족이나 지인에게 한강버스 탑승을 추천한다는 답변도 88.8%나 됐다. 선착장 시설과 요금 체계에 대한 만족하다는 응답 비율은 각각 90.3%, 94.5%였다.


서울 강서구 마곡선착장에 정박해 있는 한강버스. 지난달 29일부터 한 달 동안 성능 고도화 등을 위해 무승객 시범운한다고 서울시는 전했다. 연합뉴스

서울 강서구 마곡선착장에 정박해 있는 한강버스. 지난달 29일부터 한 달 동안 성능 고도화 등을 위해 무승객 시범운한다고 서울시는 전했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한강버스 이용 목적(복수 선택)은 '한강 위에서 이동하는 특별한 경험을 해보기 위해'(74.0%)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이 밖에도 한강 경치를 감상하거나 여가 시간을 보내기 위해(53.0%), 이용 요금이 합리적이어서(14.9%), 교통정체 없이 목적지까지 편리한 이동을 위해(8.5%) 등의 답이 이어졌다.

개선이 필요한 사항으로는 접근성 개선(안내표지, 보행로 정비 등)이 35.6%로 가장 많았다. 버스·지하철 등 대중교통 연계 강화(26.5%), 운항 정보 안내 시스템 고도화(15.6%), 운항 안정성 개선(7.9%) 등을 답한 이도 있다.


서울시는 지난 달 18일 한강버스 정식 운항을 시작했다. 하지만 고장으로 인한 운항 중단과 재개가 반복되자 운항 열흘만인 지난 달 28일 시민 탑승을 중단하고 성능 고도화와 안정화를 위한 '무승객 시범운항'으로 전환했다. 한강버스는 10월 말 운항을 재개할 예정이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