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버스 이용객 800명 설문조사
요금 합리적·실내 공간 쾌적 응답 많아
이용목적은 특별한 경험·경치감상
한강버스 초기 이용자 대부분이 타본 후 만족했다는 설문결과가 나왔다. 한강버스는 정식 운항 열흘 만에 문제가 생겨 한달가량 중단한 상태다.
서울시는 지난 달 24~26일과 28일 등 나흘간 한강버스 이용자 8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2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7개 선착장별 하선객이 통과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매 N번째 통과자를 무작위로 선정하는 현장 면접조사 방식으로 수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45%다.
한강버스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를 물은 질문에 '만족한다'는 응답 비율은 86.3%(690명)를 차지했다. 성별로는 여성(88.0%)이 남성(84.4%)보다 만족한다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20대(91.7%)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이어 30대(88.4%), 50대(87.8%), 40대(86.3%), 70대 이상(80.8%), 60대(79.4%)의 순이었다.
만족한다고 답한 이유(복수 선택)로는 요금 합리성(53.2%)을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한강버스의 1회 이용 요금은 3000원이다. 그다음으로는 한강버스 실내 공간의 쾌적성(39.6%), 선착장까지 접근성(22.3%), 선박 승하차 과정 편리성(18.3%)의 답이 뒤를 이었다.
불만족한다고 답한 이유(복수 선택)로는 선착장까지 접근성(44.5%)이 가장 많았다. 이어 선박 승하차 과정(27.3%), 선착장 내부 대기시설(21.8%), 진동·소음·흔들림 등 운항 안정성(19.1%) 등의 의견이 나왔다. 가족이나 지인에게 한강버스 탑승을 추천한다는 답변도 88.8%나 됐다. 선착장 시설과 요금 체계에 대한 만족하다는 응답 비율은 각각 90.3%, 94.5%였다.
한강버스 이용 목적(복수 선택)은 '한강 위에서 이동하는 특별한 경험을 해보기 위해'(74.0%)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이 밖에도 한강 경치를 감상하거나 여가 시간을 보내기 위해(53.0%), 이용 요금이 합리적이어서(14.9%), 교통정체 없이 목적지까지 편리한 이동을 위해(8.5%) 등의 답이 이어졌다.
개선이 필요한 사항으로는 접근성 개선(안내표지, 보행로 정비 등)이 35.6%로 가장 많았다. 버스·지하철 등 대중교통 연계 강화(26.5%), 운항 정보 안내 시스템 고도화(15.6%), 운항 안정성 개선(7.9%) 등을 답한 이도 있다.
서울시는 지난 달 18일 한강버스 정식 운항을 시작했다. 하지만 고장으로 인한 운항 중단과 재개가 반복되자 운항 열흘만인 지난 달 28일 시민 탑승을 중단하고 성능 고도화와 안정화를 위한 '무승객 시범운항'으로 전환했다. 한강버스는 10월 말 운항을 재개할 예정이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잠들기 전 '나 지금 얼마있지?' 은행 잔고 확인…10명 중 7명은 밤새 돈 걱정 [세계는Z금]](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92910272252732_1759109242.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