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비만 억제 위해 규제 시행
영국 정부가 슈퍼마켓에서 파는 과자·사탕·탄산음료 등 정크푸드에 대해 하나를 덤으로 주는 식의 할인 판매를 전면 금지했다. 비만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이다.
영국 BBC는 1일(현지시간)부터 잉글랜드 전역의 대형 슈퍼마켓, 주요 상점, 온라인 유통 채널에서 비만을 유발한다고 판단한 비건강식품에 대한 '1+1'이나 묶음 할인 같은 판촉 행위를 하지 못하게 했다고 보도했다. 외식 업소에서는 탄산음료 등 설탕이 첨가된 음료의 무제한 리필 서비스도 안 된다.
영국 정부는 이 조치가 비만 예방, 특히 아동 건강 증진을 위한 출발점이라고 설명했다. 보건당국은 "비만은 아동의 건강한 출발을 빼앗고 평생 질병 위험을 안기며 국민보건서비스(NHS)에 막대한 부담을 준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의 대상이 되는 품목은 정부가 '비만 유발 식품'으로 분류한 품목이다. 여기에는 탄산음료·레모네이드 등 설탕이 포함된 음료를 비롯해 과자류·초콜릿·사탕·아이스크림·케이크·페이스트리·일부 냉동 피자 등이 포함된다. 내년 1월부터는 온라인에서 이러한 음식을 광고할 수 없고 오후 9시 이전 TV광고도 제한된다.
해당 정책은 지난 2021년 보리스 존슨 당시 총리에 의해 제안됐으나 생활비 상승 등의 이유로 수차례 도입이 연기되다가 이번에 시행됐다. 그레그 펠 영국 공중보건이사협회 회장은 "늦었지만 환영한다"면서도 "아직 갈 길이 멀다"고 평가했다. 이어 "비만이 수년에 걸쳐 전례없는 속도로 증가했으며 소득 수준이 낮은 지역에서 더욱 확산되고 있다"며 "건강 불평등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관련 업계는 정책 변화에 적응하고 있는 모습이다. 테스코, 세인즈버리 등 일부 대형 유통사는 이미 자체적으로 관련 판촉 제한을 시행해 왔다. 영국소매협회(BRC)는 "대다수 회원사가 새로운 규정을 준수하고 있다"며 "소비자들이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제품 재구성·열량 정보 제공·1회 제공량 조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웨일스도 내년에 비슷한 규제를 도입할 예정이며 스코틀랜드 역시 이를 따를 것으로 보인다. 영국의 비만율은 최근 수십 년간 급증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잉글랜드에서는 성인 인구 4명 가운데 1명, 초등학교 6학년생 5명 가운데 1명이 비만으로 분류된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잠들기 전 '나 지금 얼마있지?' 은행 잔고 확인…10명 중 7명은 밤새 돈 걱정 [세계는Z금]](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92910272252732_1759109242.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