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숙한 생수병 속에서 우리 모르게 빠져나오는 미세 플라스틱이 건강을 위협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단순히 '조금 섭취할 수도 있겠지' 수준이 아니라, 장기간 노출될 경우 심각한 만성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겁니다.
플라스틱은 잘게 쪼개질수록 더 위험합니다. 미세 플라스틱은 1μm에서 5mm 크기의 작은 조각이고, 나노 플라스틱은 이보다 훨씬 작은 10㎚에서 1μm크기입니다. 눈에 보이지도 않을 만큼 작지만, 이 조각들이 생수병에서 배출돼 물과 함께 우리 몸으로 들어오는 거죠.
Advertisement
캐나다 콩코디아대 연구팀은 141편이 넘는 관련 논문을 종합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사람은 1년에 약 3만9000~5만2000개의 미세 플라스틱을 섭취하는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특히 생수를 주로 마시는 경우, 수돗물을 마시는 사람보다 최대 9만 개 더 많은 플라스틱 조각을 삼킬 수 있다는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무심코 마시는 한 병의 생수가 우리 몸에 쌓이는 셈입니다.
나노 플라스틱은 크기가 작은 만큼 장벽을 쉽게 통과해 인체 깊숙이 침투할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장기간 노출될 경우 호흡기 질환, 생식 기능 문제, 신경독성, 발암성 등 다양한 만성적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특히 생식 관련 문제는 장기적으로 세대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더 주목받고 있습니다.
문제는 개인 건강에만 그치지 않습니다. 생수병이 버려지면 매립지, 강, 바다를 거쳐 결국 자연 서식지까지 영향을 미칩니다. 작은 플라스틱 조각들은 생태계의 균형을 무너뜨리고, 해양 생물의 먹이사슬에까지 스며듭니다. 결국 인간에게도 다시 돌아오는 구조라 '환경 문제이자 인류 문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현재 미세·나노 플라스틱 관련 시험법이 표준화돼 있지 않고, 규제도 매우 미비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즉, 우리가 얼마나, 어떤 형태의 플라스틱을 섭취하는지조차 정확히 알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겁니다. 그래서 더 포괄적인 규제 마련, 대중 인식 제고, 추가 연구가 시급하다고 강조했습니다.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