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김재철 동원그룹 명예회장, 서울대에 사재 250억원 기부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서울대, 매년 30명 선발 '김재철AI클래스' 신설
美 유수 대학 교환학생·산학협력 인턴십 프로그램

김재철 동원그룹 명예회장이 국내 인공지능(AI) 분야 인재 육성과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서울대학교에 사재 250억원을 기부한다.


김재철 명예회장은 1일 서울대 행정관에서 열린 기부 협약을 통해 향후 10년간 해마다 사재 25억원을 기부하기로 약정했다. 협약식에는 유홍림 서울대 총장을 비롯해 대학 관계자들과 김남정 동원그룹 회장, 김은자 동원와인플러스 부회장 등 가족들이 함께 자리했다.

1일 서울대학교에서 열린 AI 인재양성 김재철AI클래스 기금 협약식에서 김재철 동원그룹 명예회장(우측)과 유홍림 서울대학교 총장(좌측)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동원그룹 제공]

1일 서울대학교에서 열린 AI 인재양성 김재철AI클래스 기금 협약식에서 김재철 동원그룹 명예회장(우측)과 유홍림 서울대학교 총장(좌측)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동원그룹 제공]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번 기부는 "대한민국이 AI 분야의 주도권을 잡아야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는 김 명예회장의 신념에서 비롯됐다. 그는 올해 초 자신의 경영 에세이 '인생의 파도를 넘는 법'을 주제로 서울대에서 강연했을 당시 유홍림 총장이 토로한 'AI 인재 육성의 절실함'에 공감하며 기부를 결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대는 이 기부금을 기반으로 '김재철AI클래스'를 신설한다. 앞으로 10년 동안 매년 학부생 30명을 선발해 전액 장학금을 제공하며 맞춤형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MIT, 스탠퍼드대, 카네기멜런대 등 세계 유수 대학과의 교환학생 프로그램과 글로벌 ICT 기업 인턴십도 지원해, 세계 최고 수준의 AI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서울대는 이 클래스가 "대한민국 AI 교육 플랫폼의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김재철 명예회장은 "위대한 잠재력을 지닌 대한민국의 청년들이 인프라 부족으로 학문 탐구의 기회마저 상실해선 안 될 일"이라며 "우리 젊은이들이 마음 놓고 연구할 수 있는 환경 조성과 토대 마련은 꼭 해야만 하는 일이기에 다시 한번 새로운 도전에 나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명예회장의 교육 기부 역사는 반세기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79년 창업 10년 만에 사재 3억 원을 출연해 동원육영재단을 설립하며 장학사업을 시작했다. 이후 연구비와 교육 발전기금을 꾸준히 지원하며 누적 기부액은 1100억원을 넘어섰다.


AI 인재 양성을 위한 지원도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19년 한양대에 '한양AI솔루션센터' 설립에 30억원을 기부했고, 2020년에는 카이스트에 544억원을 출연해 '김재철AI대학원'을 설립한 바 있다.


동원그룹도 기업 차원에서 AI 교육과 실무 적용을 강화하고 있다. 2019년 전 계열사에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PA)를 도입했고, 이듬해에는 대표이사 직속의 AI 전담 조직을 출범시켜 현재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본부로 확대했다. 지난해에는 사내 AI 경진대회를 열었고, 올해는 카이스트와 공동으로 AI 컴피티션을 개최하며 관련 역량을 넓히고 있다.


김 명예회장은 "우리가 젊은 시절엔 세계의 푸른 바다에서 미래를 찾았지만, AI 시대에는 데이터의 바다에 새로운 미래가 있을 것"이라며, "이번 기부가 서울대에서 AI 인재를 키우는 마중물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 "서울대의 스승과 제자들이 힘을 모아 대한민국 AI 산업의 뿌리가 되어달라"고 당부했다.


유홍림 서울대 총장은 "국가 경쟁력을 좌우할 AI 산업 육성이 중대한 시점에 김 명예회장의 결단은 큰 의미를 지닌다"며 "관악캠퍼스 종합화 50주년을 맞은 올해 서울대가 '김재철AI클래스'를 통해 AI 교육의 허브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임혜선 기자 lhsro@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