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매년 약 3만9000~5만2000개
미세플라스틱 입자를 섭취"
미세·나노 플라스틱 장기간 노출시
호흡기 질환, 생식 문제 등 발생
"생수병, 수돗물보다 플라스틱 입자 9만개↑"
일회용 생수병에서 발생하는 미세 플라스틱(microplastics)이 인간 건강과 생태계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최근 캐나다 콩코디아대 연구팀은 일회용 생수병에서 배출되는 미세·나노 플라스틱의 장기적 건강 위험성을 분석한 논문을 국제 학술지 위험물질 저널(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에 게재했다.
미세 플라스틱은 1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5mm 크기의 플라스틱 조각을 뜻하며, 나노 플라스틱은 이보다 훨씬 작은 10㎚~1μm(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크기의 플라스틱 입자를 말한다.

미세 플라스틱(microplastics)을 장기간 섭취할 경우 호흡기 질환, 생식 문제 등 발생 등 인간 건강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
원본보기 아이콘연구팀은 전 세계적으로 일회용 생수병에서 배출되는 미세·나노 플라스틱의 영향에 대해 141편 이상의 과학 논문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흔히 사용되는 플라스틱 생수병은 매립지, 강, 바다, 자연 서식지에 쌓여 생태계 안정성과 생물다양성에 심각한 위협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구팀은 일회용 생수병에서 발생하는 미세 플라스틱(1㎛~5㎜)과 나노 플라스틱(1㎛ 미만)은 인체 건강에 잠재적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짚었다.
나노 플라스틱은 크기가 작은 만큼 체내 침투력이 높아 더 위험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사람은 매년 약 3만9000~5만2000개의 미세플라스틱 입자를 섭취한다"며 "생수를 주로 마시는 경우 수돗물 소비자보다 최대 9만개 더 많은 입자를 섭취하는 것으로 추산됐다"고 밝혔다. 다만 입자의 크기, 물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또 연구팀은 미세·나노 플라스틱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호흡기 질환, 생식 문제, 신경독성, 발암성 등 다양한 만성적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연구팀은 표준화된 시험 방법이 부재하고 규제가 미비하다며 "보다 포괄적이고 강력한 규제 마련과 대중 인식 제고, 추가 연구의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