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카톡 업뎃' 갈등에 기름 붓나…토스 대표 "우리 문화 아닌데?" 저격 추정 글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토스, 실무자가 대표해서 직접 결정 내려"
"실패해도 조롱·비난 없이 모두가 공동 책임"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의 이승건 대표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토스답게 일하는 문화' 게시글이 화제다. 최근 카카오 내부에서 홍민택 카카오 최고제품책임자(CPO)를 향한 '불통 리더십' 논란이 불거진 가운데 나온 발언이라 업계와 누리꾼 일각에서는 사실상 카카오를 겨냥한 메시지가 아니냐고 해석한다.

이승건 토스 대표. 토스

이승건 토스 대표. 토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1일 이승건 대표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토스답게 일하는 문화의 핵심은 DRI(Directly Responsible Individual·직접 책임자)가 강력하게 자리 잡고 있다는 점"이라고 밝혔다. 이 대표는 "DRI란 보고받는 임원이 아니라 실제 실무를 담당하는 팀원들이 회사를 대표해 결정을 내리는 구조"라며 "이는 단순한 구호가 아니라 토스의 지배문화로 작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임원뿐 아니라 다른 팀원들도 특정 실무자의 업무에 대해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하고 비평할 수 있다"며 "만약 임원의 강력한 의견개진만 존재한다면 그건 그저 악성 탑다운 문화에 불과하며 토스가 일하는 방식과 상관이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자율적 결정이 회사 전체에 의도치 않은 피해로 이어질 수 있음을 모두가 인식하고 있다"며 "설령 누군가의 결정이 큰 피해가 가는 결과가 되더라도 그 결과를 비난하거나 조롱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임원과 팀원들 모두 불행한 결과를 공동의 결정으로 받아들이고 원팀으로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토스답게 일하는 방식"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발언은 카카오톡 개편 논란 속에서 불거진 내부 논란과 맞물리며 주목받고 있다. 최근 카카오는 개편을 주도한 홍 CPO가 조직 의견을 무시한 채 독단적으로 개편을 밀어붙였다는 잡음과 함께 경영진을 향한 내부 불만이 확산하고 있다. 홍 CPO는 과거 토스뱅크 CEO 출신이다.


개편안에 대한 혹평 또한 쏟아지자 카카오는 지난달 29일 기존 친구목록을 카카오톡 친구 탭의 첫 화면으로 복원하고 피드형 게시물은 별도의 메뉴를 통해 볼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은서 인턴기자 rloseo8@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