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방한해 서린빌딩·서초사옥 방문
최태원·이재용 만나…약 한 달여 만
삼성·SK와의 협력프로젝트 나올지 주목
'스타게이트 협력' 가능성…데이터센터 조성
챗GPT를 개발한 미국 간판 기업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1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연쇄 회동하면서 국내 반도체 업계와의 협력을 구상할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특히 오픈AI가 추진 중인 매머드급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 사업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우리 기업들이 반도체 공급과 AI 데이터센터 건설 참여 등으로 협력에 나설 가능성이 엿보인다.
이날 서울 강서구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입국한 올트먼 CEO는 최 회장과 오찬을 위해 곧바로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SK서린빌딩에서 기자들과 만난 올트먼 CEO는 회동 의제에 대한 질문에 "오늘 주제가 많다"고 답한 뒤 오찬 장소로 이동했다.
오찬에는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이 동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오픈AI에서도 김경훈 오픈AI코리아 대표가 함께한 것으로 알려졌다. SK와 오픈AI는 AI 반도체와 생성형 AI 서비스와 관련한 양사 협력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한 것으로 전해진다.
올트먼 CEO는 오찬 이후 서울 강남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으로 이동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도 회동했다. 이재용 회장, 최태원 회장이 올트먼 CEO를 만난 것은 지난 8월 말 한미 정상회담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이후 약 한 달여 만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만남을 통해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SK그룹과 삼성전자가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이 나올 것으로 전망한다. 스타게이트는 지난 1월 오픈AI와 미 소프트웨어 및 클라우드 기업 '오라클', 일본 투자회사 '소프트뱅크'가 함께 발표한 4년간 5000억 달러(약 700조원) 규모의 데이터 건설 프로젝트다.
수십만 개 이상 그래픽처리장치(GPU) 규모의 연산 인프라 확보가 목표인 초거대 AI 인프라 프로젝트다. 차세대 모델 훈련과 에이전트형 AI 개발 등을 위한 기반 시설을 준비하는 전략적 투자로 알려졌다.
SK그룹은 최근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함께 'SK AI 데이터센터 울산'을 착공하면서 그룹의 AI 데이터센터 역량을 결집한 토탈 솔루션 패키지 전략이 성과를 내고 있다. SK하이닉스도 AI 인프라 핵심 부품인 고대역폭메모리(HBM) 분야에서 세계 1위 자리를 확고히 지키고 있다.
삼성전자 역시 메모리 반도체와 시스템 반도체,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역량을 모두 갖춘 종합 반도체 업체로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원활한 추진과 글로벌 AI 인프라 확대를 위한 협력에 나설 역량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룹사 중에서도 IT서비스와 건설 및 중공업 계열사들이 데이터센터 시스템 개발과 건설 등에서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오픈AI는 챗GPT를 활용한 제품 서비스와 개발에 필요한 컴퓨팅 파워와 GPU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 엔비디아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10GW 규모의 데이터센터에 엔비디아 기반 시스템을 배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올트먼 CEO는 이날 오후에는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재명 대통령을 예방한다. 이 자리에는 이 회장과 최 회장도 동석한다. 이 대통령은 접견에서 우리나라의 AI 전환(AX) 전략에 관한 조언을 구하고 국내 기업과의 협력 및 우리나라에 대한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 달라고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은 이날 행사와 관련해 "접견을 계기로 정부와 오픈AI는 대한민국 AI 대전환과 AI 생태계 발전을 위해 상호협력해 나가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