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엑스박스·컬리·우버 등 협업
네이버 통해 손쉽게 이용·강점 극대화
네이버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모빌리티, 게임 등 각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춘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플랫폼 생태계를 넓히고 있다. 핀테크와 가상자산을 결합한 시너지도 모색 중이다. 네이버를 통해 콘텐츠와 쇼핑, 결제·금융 등의 서비스를 한 번에 이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30일 네이버에 따르면,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지난 25일 경기 성남시 네이버 1784 사옥에서 강대현 넥슨 대표와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플랫폼·콘텐츠·데이터를 활용해 보는 게임과 하는 게임을 결합,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협약에 따라 네이버와 넥슨은 각 사 이용자 계정과 결제 데이터 등을 통합한다. 네이버 로그인으로 넥슨 계정에 접속할 수 있고, 넥슨캐시 충전 시 네이버페이 단건 또는 정기 예약 결제가 가능해진다. 또 네이버 PC 메인이나 모바일 콘텐츠 탭 등에 넥슨 게임을 맞춤형으로 노출한다.
네이버 스트리밍 플랫폼 '치지직'과 넥슨의 게임 지식재산권(IP) 협업도 진행한다. 치지직을 통해 게임 리그와 주요 이벤트를 중계하고, 오프라인 리그에서 굿즈 판매, 네이버 예약 등을 추진한다. 게임 플레이 중 라이브 방송과 스트리밍 버튼을 눌러 손쉽게 치지직으로 넘어가거나, 반대로 치지직에서 게임 라이브 방송을 보다가 플레이 버튼을 통해 게임을 할 수 있게 한다.
네이버 관계자는 "최근 성황리에 마친 넥슨의 축구 이벤트 경기 '아이콘매치'를 치지직에서 중계하고, 손자회사인 크림을 통해 굿즈를 판매하는 등 넥슨과 협업해 왔다"며 "네이버가 2032년까지 월드컵·올림픽 중계권을 확보한 가운데 넥슨이 서비스하는 'FC 온라인·모바일' 등의 게임과 다양한 마케팅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네이버의 파트너십은 영역을 넘나들고 있다.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을 앞세워 넷플릭스와 마이크로소프트(MS) PC 게임패스에 이어 컬리로 협업을 확대했다. 쿠팡과 비교해 신선식품 배송이 약하다는 지적을 컬리와의 제휴로 보완한 것이다. 또 네이버는 지난 9일 간담회에서는 우버택시와 제휴해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에 우버 멤버십 서비스인 '우버원'을 연계한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우버원은 우버 택시를 이용할 때 요금의 5~10%를 크레디트로 적립받는 서비스다. 이들 서비스는 월 4900원의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에 가입하면 월간 단위로 선택·변경해 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네이버는 멤버십 구독 매력도를 높여 커머스 활성화로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했다. 네이버스마트스토어 서비스 거래액 성장에 힘입어 올해 2분기 네이버 커머스의 온플랫폼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9.0% 상승했다. 네이버는 쿠팡이 배달과 배송, OTT를 홀로 서비스하는 것과 달리 파트너사와 '상부상조'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네넷'으로 불리는 협업으로 넷플릭스 역시 정체됐던 신규 가입자가 유입되는 덕을 봤다.
이런 가운데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의 합병은 네이버가 금융·가상자산 시장에서도 큰손으로 올라설 것이란 관측에 무게를 더한다. 네이버는 네이버파이낸셜(네이버페이)의 온·오프라인 금융 결제를 확대해 왔다. 두나무는 지난달 자체 블록체인 메인넷 '기와체인'을 공개해 스테이블코인 발행 가능성을 내비쳤다. 양사의 결합은 네이버 서비스의 글로벌화에 힘을 실을 전망이다. 스테이블코인은 거래 속도가 빠르고 가격 변동성이 낮아 결제·송금 수단으로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네이버 관계자는 "우리는 플랫폼과 데이터, 기술 등에 강점이 있다. 이를 다른 분야에서 전문성이 있는 기업관 협업해 더 잘 활용하고자 한다"며 "각자 잘하는 것을 더 잘 할 수 있게 파트너사와 협업을 이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노경조 기자 felizkj@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