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행정시스템 87개 정상화…"부품 교체 등으로 복구 더뎌"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화재로 절차 건너뛰고 전원 꺼"
복구 인력, 공무원 등 704명
서비스 장애 647개 목록 공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장애가 발생했던 행정정보시스템의 13.4%가 복구됐다. 정부는 화재 당시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해 불길이 직접 닿지 않은 전산실의 시스템도 거쳐야 할 절차를 건너뛰고 즉각 전원을 껐기 때문에, 재구동 과정에서 평시보다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30일 오후 국정자원 화재 관련 브리핑을 열고 "오전 10시 기준 장애가 발생한 647개 시스템 중 1등급 업무는 21개, 58.3%가 정상화돼 총 87개 시스템이 복구됐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정부는 화재가 발생한 국정자원 5층 외 2~4층 전산실에 위치한 시스템을 우선 복구 중이다. 직접 피해를 입은 5층 7-1 전산실 96개 시스템은 대구 센터로 이전하고, 이외 5층에 위치한 7, 8전산실의 시스템은 분진 제거 후 재가동이 이뤄질 전망이다. 특히 5층에 7-1 전산실을 비롯해 7 전산실 200개, 8전산실 34개 등 전체 시스템의 절반이 넘는 330개(51%)가 집중돼 피해 규모가 크다.


시스템 정상화 작업은 지난 28일 시작돼 이날로 사흘째를 맞았지만, 아직도 560개 시스템이 멈춰 있다. 시스템 복구 인력은 공무원 130명, 유지관리 사업 인력 574명 등 700명이 넘지만 속도는 더디다. 이재용 국정자원 원장은 "전원을 차단하고 다시 켜는 데 있어 두 가지 상황이 있을 수 있다. 하나는 연기나 열에 의해 민감한 부품이 손상을 입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보통 시스템을 끌 때는 절차와 순서가 있는데, 당시 상황에서는 전기를 빨리 차단해야 했기 때문에 순서를 지키지 못하고 전원을 끈 경우가 있었다"며 "그런 경우 부품에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재가동 과정에서 부품을 새로 수급하기도 하면서 시간이 걸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까지 데이터 소실 여부는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 원장은 "복구 과정 중이기 때문에 남아있는 것 중에서 소실된 데이터가 발견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고 했다. 또 1~4등급 주요 시스템은 온라인으로 매일 데이터가 백업되지만, 3~4등급 일부 시스템은 백업되지 않은 정보가 있을 수 있다. 전체 시스템에 대한 오프라인 백업 주기는 1개월로 간격이 더 크다.

아울러 화재 당시 작업 현장에는 담당 공무원을 포함해 총 15명이 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 원장은 "담당 공무원 1명, 방재실 직원 5명, 감리인 1명, 작업자 8명 등 총 15명이 현장에 있었다고 확인했다"고 전했다.


행정 시스템 이용이 어려워지자 정부는 지원반을 편성해 대응하고 있다. 이번 서비스 장애로 피해를 본 국민들에 대한 구제 방안이 있느냐는 질문에 이용석 행안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국민께서 입으신 손해와 관련해 110, 120 콜센터를 운영하고 관련 지원반을 편성해 운영하고 있다"며 "구체적인 사례가 생기면 좀 더 논의를 거쳐 (대응 방식을) 결정하겠다"고 했다.


한편 정부는 시스템 장애가 발생한 647개 목록을 이날 공개했다. 중요도가 높은 1등급이 38개이며, 다음으로 2등급 86개, 3등급 294개, 4등급 229개다.





김영원 기자 forever@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