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8일 '2025 의정보고회' 열어
내년 북구청장 선거 위한 포석 성격
예결위원장 선출 두고 당내 징계 받아
자중 할 시기 선거 행보 비난 쏟아져
내년 6·3 지방선거를 앞두고 분위기를 선점하려는 정치인들의 행보에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광주광역시의회 신수정 의장을 향한 여러 뒷말이 쏟아지고 있다.
광주시의회 내부에서 불거진 구설로 인해 당내는 물론 지역 안팎의 다양한 평가들이 이어지고 있지만, 정작 본인은 내년 선거를 위한 전략 구상에만 힘쓰는 것처럼 보여지고 있어서다.
정치적 분란에 대한 책임론이 어느 때보다 부각되는 상황에서 자중과 순리를 따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8일 지역 정가에 따르면 신 의장은 전날 광주 북구 동강대학교 체육관에서 2,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5 의정 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엔 민주당 정준호 국회의원(북구갑)을 비롯해 광주시의회·북구의회 의원들과 지역 오피니언리더들이 대거 참석했다.
이날 행사는 내년 지선 광주 북구청장 선거 출마를 염두에 둔 사전 포석의 성격을 띠고 있다.
신 의장은 이 자리에서 "시민의 눈으로 시민과 함께하는 진심 의회를 만들기 위해 민생과 소통 중심의 의정활동을 전개해왔다"고 밝혔다.
또 신 의장은 "좋은 정치란 시민의 눈물을 닦아주는 것이 아니라 눈물을 흘리지 않게 하는 것"이라며 "시민의 목소리가 제 의정의 나침반임을 잊지 않고 시민과 함께 내일을 향해 나아가겠다"고 다짐했다.
문제는 진정성이다. 신 의장이 당론을 어기고 시민의 뜻을 저버린 '밀실 야합'에 대한 반성이나 사과는 단 한마디도 없었기 때문이다.
앞서 신 의장은 지난 22일 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단 선출 과정에서 당론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민주당 광주시당으로부터 '당직 자격정지 1개월'의 징계를 받았다.
당시 신 의장과 함께 정무창 의원(1년), 이귀순·김나윤 의원(6개월) 등에게 당직 자격정지가, 다른 5명의 의원에게는 서면경고가 내려졌다. 이들의 징계는 중앙당 재심을 거쳐 확정된다.
시의회는 민주당이 9명의 위원 중 7명으로 절대다수였음에도 밀실 투표로 무소속 위원장과 국민의힘 부위원장을 선출해 파문을 일으켰다. 시당은 이를 명백한 '해당 행위'로 규정한 바 있다.
신 의장이 수많은 지지자 앞에서 외친 '좋은 정치'라는 말이 공허한 구호에 불과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8개월 뒤 지역 유권자들의 냉엄한 심판이 중요한 것도 이런 연유에서다.
지역 정가에서도 '시기적으로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이어진다.
물론 공천에 영향 없는 '형식상 처분'이라곤 하지만, 징계 서류에 잉크도 마르기 전 '자중과 반성'의 자세 대신 사실상의 내년 지선 출마 선언으로 현 상황을 갈음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지역 정가 한 관계자는 "신 의장이 광주시민의 눈물을 운운하면서 정작 시민의 정치적 신뢰를 저버린 자신의 과오에는 눈감는 이중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도 "솜방망이 징계 뒤에 숨어 반성 없는 정치 행보를 이어가는 것이 대의기관인 시의회의 수장으로서 온당한 처사인지 시민들이 냉엄한 눈으로 지켜보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와 관련 신 의장의 해명을 듣기 위해 여러 차례 연락을 취했지만 받지 않았다.
호남취재본부 심진석 기자 mourn@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하루에 100마리씩 튀겨도 남는 게 없네…2만5000원 짜리 치킨값 대해부[치킨공화국의 몰락]①](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4071508122050905_1720998740.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