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나무 등 가상자산 사업자 CEO 10곳과 간담회 개최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가상자산 사업자 최고경영자(CEO)에게 이용자 중심의 책임 경영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30일 서울 서초구 서초동에 위치한 드림플러스 강남에서 진행된 가상자산사업자 최고경영자(CEO)와 간담회에서 "가상자산이 제도권 금융상품과 어깨를 나란히 하기 위해서는 이용자 중심의 책임 경영을 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최근 가상자산 거래소가 앞다퉈 고위험 상품과 레버리지 제공과 같은 사업을 진행한 것을 언급하기도 했다. 이 원장은 "가상자산은 한때 투기의 산물로 치부됐지만 이제는 글로벌 금융질서와 경제 전반에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이용자를 단순한 이익 창출 대상이 아닌 상생의 파트너로 존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과도한 이벤트, 고위험 상품 출시 등 단기 실적에만 몰두한 왜곡된 경쟁으로 이용자의 신뢰를 잃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IT 인프라의 구축과 안정성 관리에 집중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인적 오류나 관리 소홀 등에 따른 '먹통 사태'가 지속되고 있다"며 "취약점이 보안사고로 확대된다면 최근 통신사나 금융회사 사례에서 보듯 많은 국민들이 심각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가상자산사업자의 경쟁력은 무엇보다 IT 안전성에 그 뿌리를 두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가상자산 거래소의 시장감시 기능도 강화해 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공정성과 투명성은 시장의 근간이 되는 것으로 가상자산 시장도 예외일 수 없다"며 "자체적인 시장감시 기능 강화에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여주시기 바란다"고 설명했다.
리스크 관리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가상자산은 스테이블코인, 가상자산 상장지수펀드(ETF) 등을 통해 금융·실물경제와 연계를 확대하고 있다"며 "가상자산 시장의 작은 충격이 금융·실물경제에 불안을 초래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선제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국내 가상자산 시장은 이용자가 1000만명을 상회할 정도로 크게 성장했다"며 "사업자가 스스로 책임을 다하고 이용자 보호를 최우선 가치로 삼는 것만이 지속 가능한 성장과 발전을 담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가상자산사업자들은 이용자 보호를 경영의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글로벌 경쟁력과 이용자 편익을 제고하면서도 공정한 경쟁과 업계 상생이 이뤄질 수 있는 규율 체계의 마련 등 다양한 건의 사항도 전달했다.
간담회에는 두나무, 코빗, 코인원 등 원화거래소와 코인거래소, 수탁업체 등 10개 주요 사업자 등이 참석했다.
유현석 기자 guspower@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