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에이전틱 AI, 물류산업 발전 판 바꿀 혁신도구"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김승환 "AI, 물류산업 운영 혁신 이끌 것"
박민영 "공공부문, 선도적으로 투자해야"

인공지능(AI) 기술 도입으로 물류산업의 판도가 변화하는 가운데 '에이전틱 AI(Agentic AI)'가 물류산업의 발전을 이끌 차세대 기술로 지목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30일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AI 전환과 물류산업 발전방향'을 주제로 제53차 물류위원회를 개최했다. 대한상의 신영수 물류위원장과 박일준 상근부회장, 이용호 LX판토스 대표이사, 이준환 KCTC 부회장, 심충식 선광 부회장, 이상근 삼영물류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회관. 장희준 기자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회관. 장희준 기자

AD
원본보기 아이콘

김승환 LG AI연구원 어플라이드 AI 연구그룹장은 에이전틱 AI를 미래 물류산업의 핵심으로 제시했다. 그는 "차세대 AI의 핵심은 스스로 문제를 정의하고 계획과 실행까지 이어가는 에이전틱 AI"라며 "물류산업은 수요 예측, 재고 관리, 배송 경로 최적화 등 복잡한 변수가 얽혀 있어 AI 도입 효과가 매우 큰 분야"라고 진단했다. 이어 "플랜트 운영 최적화 등 제조·유통 현장에서 성과가 입증된 만큼 물류에서도 에이전틱 AI가 단순 효율화를 넘어 실시간 의사결정과 운영 혁신을 이끌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민영 인하대 교수(한국로지스틱스학회장) 역시 AI 도입이 물류산업 변화의 핵심이라고 짚었다. 그"AI는 단순한 효율성 도구를 넘어 운영 방식 자체를 바꾸고 있다"며 "AI 기반 실시간 모니터링, 자동 상하역 시스템, 차량 기반 공유물류망 등 기술은 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뿐 아니라, 신선물류·O2O(Online to offline)·라스트마일 배송처럼 새로운 수요에 대응하는 핵심 인프라"라고 평가했다.


다만 "사회적 차원에서 AI 확산이 수도권과 지방, 대기업과 중소기업, 정규직과 비정규직 등 다양한 격차를 더 키울 수 있다"며 "공공부문이 선도적으로 AI 물류 실증·확산에 투자하고, 소상공인이 저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동물류센터 등 포용적 물류 인프라를 확산시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신영수 대한상의 물류위원장(CJ대한통운 대표)은 "CJ대한통운 역시 자체 개발한 에이전틱 AI를 기반으로 한 물류 혁신을 추진 중이며 물류 전 과정을 스스로 판단하고 실행하는 완전 자율 운영 체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며 "물류 기업들도 선제적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