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수수료 100배 인상' 미국 왜 가나" 전문직에 '러브콜' 보낸 캐나다 총리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트럼프, H-1B 비자 수수료 100배 인상
세계 각국 전문인재 유치 경쟁 벌어져
카니 총리 "인재 유치 정책 제안할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문직 비자인 'H-1B' 비자 수수료를 100배 인상하면서 세계 각국에서 고급 인재를 유치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연합뉴스는 2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을 인용해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미국으로 취업하지 못하게 된 전문인력을 캐나다로 유치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고 보도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 AP연합뉴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 AP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영국 런던을 방문 중인 카니 총리는 트럼프 행정부의 H-1B 비자 정책 변경에 대해 "분명한 것은 이전에 H-1B 비자를 받은 사람들을 (캐나다에) 유치할 기회라는 점"이라며 "H-1B 비자 신청자 중 많은 수가 기술 분야 인력이며, 일자리를 위해 이주할 의향이 있는 이들"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민자 정책을 검토하면서 이 같은 유형의 인재 흡수를 검토하고 있다"며 "이와 관련해 명확한 정책 제안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9일 H-1B 비자 수수료를 1인당 연간 1000달러(약 141만원)에서 10만달러(약 1억 4000만원)로 증액한다고 발표했다. H-1B 비자는 과학·기술·공학·수학(STEM) 분야 전문 직종에 적용되는 비자로, 미국 기업들이 고급 인재를 채용해 경쟁력을 유지하는 수단으로 평가돼왔다.


그러나 미국 내 강경 보수층은 H-1B 비자가 미국인들의 고소득 일자리를 빼앗아 간다고 비판해왔다. 지난해 기준 비자 발급자의 71%는 인도, 11.7%는 중국 국적자였다.


국토안보부는 새 제도가 시행되면 H-1B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총임금이 2026 회계연도 5억 200만달러, 2027년 10억달러, 2028년 15억달러, 2029~2035년 연 20억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H-1B 비자를 활용하는 중소기업 약 5200곳은 노동력 상실로 상당한 경제적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캐나다 외 다른 국가들도 미국의 H-1B 비자 수수료 인상을 자국에 우수 인재를 영입하는 기회로 활용하고 있다. 영국 정부는 H-1B 비자와 비슷한 자국 비자에 대한 수수료를 아예 폐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중국은 STEM 분야의 인재를 유치하기 위한 새로운 비자를 오는 10월부터 도입할 예정이다.


독일 디지털 산업계의 연합체인 비트콤 대표 베른하르트 로흐레더는 "미국의 새 정책은 독일과 유럽이 최고의 인재를 끌어들이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도 "글로벌 이공계 인력의 국내 유치 기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정부는 기술이 주도하는 초혁신 경제 실현을 위해 AI(인공지능) 대전환 등에 내년 예산을 집중적으로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성욱 기자 abc123@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