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정부 "국정자원 화재로 금융서비스 일부 차질, 불편 최소화 노력"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여파 지속
당분간 일부 금융서비스 차질 지속 예상

27일 밤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소방대원이 소화수조에 불에 탄 리튬이온 배터리를 넣고 있다. 연합뉴스

27일 밤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소방대원이 소화수조에 불에 탄 리튬이온 배터리를 넣고 있다.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금융당국은 지난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전산실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여전히 일부 금융서비스가 복구되지 못하고 있다며 국민들의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등은 28일 오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국정자원 화재 관련 금융권 2차 긴급 대응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이 주재했으며 이세훈 금감원 수석부원장을 비롯해 한국거래소, 금융결제원, 예탁결제원 등 유관기관과 은행, 보험, 금투 등 금융권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당국은 이번 화재로 인해 ▲주민등록증 진위 확인이 어려워져 이에 수반되는 신규 계좌개설 등 절차 시 운전면허증 등 대체 수단이 요구될 수 있고 ▲금융거래 시 필요한 행정정보 자동접수(공공마이데이터)가 제한됨에 따른 별도 서류제출 등 요청이 있을 수 있으며 ▲이번에 전산장애가 발생한 우체국과 관련된 자동이체 등 금융서비스가 일부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행정정보와 긴밀히 연결된 배출권 거래 시장(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연계), 인터넷 지로 및 온라인 대금결제(디브레인 연계) 등은 해당 시스템 복구 등에 맞춰 정상적인 운영이 가능하다고 보고됐다.


금융위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대응체계를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금융위원장)"로 격상했다고 설명했다.

권대영 부위원장은 "어려운 시기일수록 금융회사들이 소비자 불편 최소화를 최우선 가치로 해 현장에서 불편이 없도록 최선을 다해달라"며 "금융회사 BCP(업무 연속성 계획)차원에서 어떤 불측의 사고에도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응하는 모습을 보여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금융위, 금감원도 사태가 안정화 될 때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금융서비스가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철저히 관리해 나갈 것"이라며 "금융회사들이 소비자 보호를 위한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더라도 사후에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비조치의견서 등을 유연하게 적용하는 방안도 강구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