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3국의 환경 장관들이 내년부터 기후변화 정책 대화를 정례적으로 개최하기로 약속했다.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논의하고, 탄소시장 및 라벨링 협력 확대 등에 합의했다.
환경부는 27~28일 중국 산둥성 옌타이에서 열린 '제26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TEMM26)'에서 3국이 이러한 내용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는 김성환 환경부 장관, 황룬치우 중국 생태환경부 장관, 아사오 게이이치로 일본 환경성 장관이 참석했다. 3국 장관들은 양자회담, 본회의, 공동 기자회견 등을 통해 환경협력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협력 방향을 논의했다.
김 장관은 회의에서 "대한민국은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국가 전략으로 삼았으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10월 초 '기후에너지환경부'가 출범한다"고 밝혔다. 중국과 일본 측은 우리나라의 조직 개편을 환영하며 탄소중립 정책 추진을 기대한다고 화답했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28일 중국 옌타이에서 열린 제26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TEMM26)에 참석해 대한민국의 환경정책을 발표하고 있다.(사진 환경부 제공)
특히 3국은 기존 대기질·생물다양성 협력에서 나아가 기후 분야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논의 △2026년부터 기후정책 대화 정례화 △탄소시장 및 라벨링 협력 확대 등에 합의했다. 김 장관은 "한·중·일 3국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한다"며 "3국 협력이 지구적 탄소중립 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회의에 앞서 열린 한·중 회담에서는 대기질 개선 경험을 공유하고, 기후위기 대응·플라스틱 오염 해결 등 공동 대응을 강화하기로 했다. 한·일 회담에서는 일본 배출권거래제(ETS) 시행과 관련해 한국의 탄소시장 경험을 공유하고, 외래생물종 대응 및 멸종위기종 보호 협력을 논의했다.
본회의 외에도 청년 포럼, 한·중·일 환경산업 원탁회의 등 부대행사가 열렸다. 김 장관은 청년 대표들과 만나 "국경을 초월한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며 미래세대의 협력을 강조했다. 원탁회의에서는 산업계·전문가들이 탄소중립 달성 방안을 논의했으며, 한국형 녹색분류체계와 전환금융 도입 필요성이 제기됐다.
김 장관은 폐회 발언에서 "한·중·일 3국은 기후위기라는 문명적 과제 앞에서 새로운 행동을 약속했다"며 "오늘의 합의가 동북아를 넘어 세계 녹색전환의 토대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세종=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