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생확률 2개 제시…'20~50%'도
기존 발생확률은 '80% 정도'
일본 정부 지진조사위원회가 난카이 해곡 대지진의 발생 확률 산정 방식을 12년 만에 재검토한 뒤, 새로운 결과를 발표했다.
27일 아사히신문과 요미우리신문 등에 따르면 전날 지진조사위원회는 향후 30년 이내 난카이 대지진 발생 확률이 '60~90% 정도 이상'과 '20~50%'라고 발표했다. 기존 난카이 대지진 발생 확률은 '80% 정도'였으나, 이번에는 이례적으로 2개를 채택했다.
난카이 대지진은 일본 수도권 서쪽인 시즈오카현 앞바다에서 시코쿠 남부, 규슈 동부 해역까지 이어진 난카이 해곡에서 일어나는 규모 8~9의 지진이다. 난카이 해곡에서는 100~200년 간격으로 대형 지진이 발생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지진조사위원회는 기존에 제시했던 지진 발생 확률 '80% 정도'는 '60~90% 정도 이상'으로 변경했다. 이 확률은 에도시대(1603~1868년)에 두 차례 난카이 대지진 피해를 봤던 시코쿠 고치현 무로쓰 지역 고문서를 토대로 산출했다. 여기에는 지진 발생 당시 지형의 융기 정도와 지진 간격 등에 주목하는 '시간 예측 모델'을 활용했다. 그러나 이 고문서는 해석이 명확하지 않고, 무로쓰 지역에서 땅을 파내는 공사가 이뤄졌을 가능성도 있어 근거로 삼기에는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에 지진조사위원회는 고문서에 나오는 지형 융기 수치의 불확실성 등을 고려해 지진 발생 확률을 '60~90% 정도 이상'으로 변경했다. 아사히는 오차를 반영한 탓에 확률의 폭이 넓어졌다고 설명했다.
지진조사위원회가 이와는 별도로 제시한 지진 발생 확률 '20~50%'는 지각 변동은 고려하지 않고 지진 간격만 주요 변수로 삼는 계산법을 통해 산출한 수치다. 이 계산법은 난카이 이외 지역의 해곡 지진 발생 확률을 계산할 때 일반적으로 쓰는 방법으로 알려졌다.
지진조사위원회는 '60~90% 정도 이상'과 '20~50%' 중 어느 한쪽이 과학적으로 우위에 있다고 판단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또 발생 확률을 2개 제시하면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현시점에서는 이것이 최선의 과학적 견해를 담은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지진조사위원회는 지진 방재 대책 관점에서 보면 더 높은 확률인 '60~90% 정도 이상'을 강조하는 편이 낫다는 입장이다. 도쿄대 명예교수인 히라타 나오시 지진조사위원장은 "지진 발생 확률은 매년 상승해 (난카이 대지진이) 언제 일어나도 이상하지 않은 상태라는 점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아사히는 "이번 발생 확률 재검토로 난카이 대지진 예상 규모와 지역 등은 변경되지 않는다"며 최대 사망자가 약 29만8000명에 이른다고 하는 정부의 피해 예상치에도 영향이 없다고 전했다. 지진조사위원회는 난카이 대지진이 발생한 최악의 경우 높이 20m 이상의 쓰나미가 발생하고 사망자가 약 29만8000명 이상 나와 일본 경제에 막대한 충격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도쿄, 오사카, 나고야 등 대도시 또한 직·간접적인 피해가 예상된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