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시간 서있으면 순환기 질환 위험↑"
"앉기-서기-걷기 병행해야 건강 효과"
책상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스탠딩 데스크가 기대만큼 건강 효과를 내지 못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단순히 앉는 시간을 줄이고 서있는 것만으로 심혈관 질환 위험을 낮추는 효과가 낮다는 분석이다.
호주 비영리 학술매체 더 컨버세이은 25일(현지시간) "장시간 서 있는 것이 심장병과 뇌졸중 예방 효과가 없고 오히려 순환기 질환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를 보도했다.
8만명 이상 장기추적 결과 "심장건강 개선 안되고 순환기 질환 위험 높여"
호주 시드니대학 연구팀은 8만3000명 이상을 장기간 추적 관찰한 결과, 장시간 서 있는 것은 심장 건강을 개선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특정 순환기 질환 위험을 오히려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 장시간 서 있는 것은 심장병과 뇌졸중 위험을 줄이지 못하고, 오히려 너무 오래 앉아 있거나 서 있는 것은 정맥류·기립성 어지럼증 등 질환 위험을 높이는 것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는 스탠딩 데스크가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기존 인식과는 상반된다. 그간 "앉는 것이 새로운 흡연"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장시간 앉아 있는 습관의 위험성이 꾸준히 지적됐고 실제로 비만·당뇨·심혈관 질환과의 연관성을 입증한 연구도 이어졌다.
이같은 상황 속 스탠딩 데스크는 생활 방식을 크게 바꾸지 않고도 앉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았지만, 이를 뒷받침할 장기적 연구 근거는 부족했다.
연구에서는 참가자들은 수년간 앉은 시간과 선 시간, 신체 활동을 추적하는 기기를 착용했다. 분석 결과, 하루 10시간 이상 앉아 있는 것은 심장병과 뇌졸중 위험을 높였다. 하지만 단순히 서 있는 시간이 길다고 해서 위험이 완화되지는 않았다. 오히려 장시간 서 있는 것은 순환계 질환 위험 증가와 관련됐다. 연구진은 장시간 서 있으면 다리에 혈액이 고여 정맥류 등이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연구는 관찰 연구 특성상 인과관계를 확정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 평균 연령이 61세인 참가자들을 기준이기 때문에 젊은 층에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정적인 자세는 해롭다…앉기·서기·걷기 병행해야 건강 개선에 효과적
매체는 "이같은 결과는 단순히 앉아 있는 자세를 서 있는 자세로 바꾸는 것이 완벽한 해결책이 아니라는 것을 시사한다"며 "몸은 앉아 있든 서 있든 정적인 자세보다 규칙적인 움직임에 더 긍정적으로 반응한다"고 짚었다.
연구진은 사무직 근로자들이 서 있는 시간에 가벼운 활동을 병행했을 때 혈당 등 건강 지표가 개선됐다고 밝혔다. 다른 연구에서도 앉기와 서기를 번갈아 하고 틈틈이 걷는 것이 단순히 서 있는 것보다 효과적이라는 결과가 이미 나온 바 있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