닛케이 "최저투자액 여전히 높아"
일본 상장기업의 주식 액면분할 건수가 올해 4~9월 기준 12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26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올해 4~9월 액면분할 건수는 124건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약 20% 늘며 12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액면분할은 주식의 액면가를 낮추고 그만큼 유통 주식 수를 늘리는 것을 말한다.
일본에서는 주식의 최저 투자액이 1주 가격에 매매 단위인 100주를 곱한 금액으로 산정되기 때문에 주식 가격이 비싸면 개인이 투자하기 쉽지 않다. 이에 도쿄증권거래소는 지난 4월 기업을 상대로 주식 최저 투자액이 10만엔(약 94만원) 수준이 될 수 있도록 독려한 바 있다.
일본 주식의 최저 투자액은 전날 기준 평균 20만엔 정도였다. 이는 10년 전과 비교해 4만엔가량 낮아진 수치다.
닛케이는 액면분할 건수 증가 요인과 관련해 "개인이 주식을 적은 금액으로 살 수 있게 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해설했다. 그러면서 "소매, 외식 등 내수 업종에서 액면분할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며 액면분할 발표일에 최저 투자액이 50만엔을 넘은 고액 주식이 대상이 된 사례가 많다고 전했다.
아울러 닛케이는 개인의 저축 금액이 증시로 이동하려면 주식 매매 단위 재검토를 포함한 최저 투자액 인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승형 기자 trust@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