홋카이도 개척과 맞물린 삿포로 맥주
선선한 홋카이도 날씨로 맥주보리 자랐으나
마이니치 "기후변화로 맥주보리 못 자라…맥줏값 폭등할 듯"
요즘 날씨가 부쩍 선선해졌는데요. 길고 지난한 여름이 끝나고 드디어 가을로 넘어가는 것 같습니다. 올해 여름 유난히 무더웠는데, 일본도 마찬가지였죠. 일본의 경우 올여름 전국 각지에서 최고기온 40도를 넘겼습니다. 여름 일본은 너무 더우니 피해야 한다는 말을 하다 보면 "그래도 홋카이도는 선선하지 않느냐"라는 질문을 받는데요. 얼마 전 일본에서는 점점 여름이 더워지면서 홋카이도의 명물, 삿포로 맥주가 위험하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삿포로 맥주는 도대체 어떻게 생겨났고 어떻게 위협받게 된 걸까요? 오늘은 삿포로 맥주와 기후변화에 관련한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일본 역사와 맞물린 삿포로 맥주 탄생비화
먼저 삿포로 맥주는 어떻게 탄생하게 되었을까요? 이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19세기 메이지 유신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합니다. 무사 계급인 막부세력의 폐단이 일어나면서 반(反) 막부세력이 쿠데타를 일으키고, 메이지 유신을 통해 일본은 중앙집권적 근대국가로 나아가게 되죠. 이때 세워진 메이지 신정부가 노린 곳은 러시아와 인접하고 있는 일본의 북쪽, 홋카이도입니다.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서라도 이 땅은 굉장히 중요했죠. 그래서 이곳을 메이지 신정부가 개척하겠다며 '홋카이도 개척사'를 설치하고 개발을 추진합니다. 전국 각지에서 이곳에 이주할 사람을 모아 철도를 깔고 여러 공장을 세우게 되죠. 이 개척사의 당시 깃발이 빨간 별이었습니다. 북극성을 따서 계속 앞으로 나아가자는 개척자 정신을 강조한 것이었다는데요.
이 개척사는 더욱 커져 도청으로 바뀌게 되는데, 이를 중심으로 많은 사업이 생겨납니다. 이때 생긴 공장 하나가 바로 맥주 양조업이었죠. 일본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독일에 가서 맥주 만드는 법을 배운 나카가와 세이베씨가 초대 양조 기사로 부임합니다. 독일에서 배운 대로 저온에서 맥주를 발효하고 숙성하는 공법을 사용하는데, 1877년 이 맥주는 드디어 '삿포로 맥주'로 시장에 선보이게 됩니다. 마크는 개척사 깃발의 빨간 별을 그대로 차용해 쓰기로 하죠. 지금도 삿포로에서는 레트로한 느낌으로 빨간 별을 붙여 파는 라거 라인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생각해보면 지금 삿포로 맥주 마크는 노란색 별인데요. 이것은 2003년 삿포로 맥주 주식회사가 삿포로 홀딩스로 바뀌면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변함없는 개척자 정신을 보여주겠다며 원래는 금색 별로 만든 것인데요, 인쇄의 편의를 위해 노란색이 됐다는 것이죠.
여하튼 삿포로 맥주는 1905년 도쿄에 공장을 설립하는 등 업계 1위에 올라서게 됩니다. 당시 일본 맥주 시장에는 에비스, 아사히, 삿포로 3개 브랜드가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었다고 해요. 1906년에 이 3개 회사가 '대일본맥주'라는 이름 아래 합병하게 됩니다. 3개 브랜드가 합쳐졌으니 시장 점유율 70%가 넘을 정도로 대일본맥주는 선전하게 되는데요. 이때 에비스, 아사히, 삿포로라는 브랜드 대신 '닛폰맥주'라는 브랜드를 통합해서 쓰게 됩니다. 브랜드를 통일시켜 전국적으로 인기를 끌겠다는 전략이었지만, 아무래도 예전의 삿포로나 에비스 맥주를 그리워하는 사람들이 많았다고 해요. 그래서 1956년 다시 홋카이도에서 삿포로 맥주가 부활하고, 이듬해는 닛폰맥주 대신 삿포로 맥주라는 이름으로 돌아와 전국 발매를 했다고 합니다. 이후 1971년에는 에비스 맥주도 부활하죠. 그렇게 삿포로 맥주는 지금도 일본 맥주 브랜드 인기 투표에서 매년 4위 안에 들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삿포로 맥주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원래 일본 홋카이도부터 러시아 사할린, 캄차카반도까지 분포하고 있던 원주민, 아이누족의 이야기입니다. 이들은 일본어와 다른 언어를 쓰고, 연어를 잡고 수렵을 하며 생활을 하던 사람들입니다. 일본은 개척을 하겠다는 이유로 이곳에 들어와 동화정책을 실시합니다. 원래 이 땅은 '에조'라는 이름으로 불리던 곳이었어요. 메이지 정부는 에조라는 이름을 일본어로 북해도를 뜻하는 '홋카이도'로 바꿔버립니다. 여기서 나아가 일본어를 배우게 하고, 어업을 금지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죠. 이 때문에 '개척'이라는 의미를 쓰는 것이 가치중립적이지 않다는 시각도 있습니다. 삿포로 맥주가 개척 정신을 강조하는 깃발을 쓰고 있으나, 이 때문에 아픔을 겪어야 했던 사람도 있던 것이죠.
기후변화로 삿포로 맥주가 위험하다는데
이 삿포로 맥주가 기후 변화라는 새로운 과제를 마주하게 됐습니다. 홋카이도가 더 '여름에 서늘한 곳'이 아니게 됐기 때문입니다. 지난 7월 23일 경우 홋카이도 일부 지역에서는 평년보다 13.7도 높은 38.2도를 기록하는 곳이 나오는가 하면, 동계 스포츠로 유명한 오비히로시에서는 38.8도를 기록하는 곳도 나왔습니다. 이곳도 여름에 더운 건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가 된 것이죠.
지난 20일 마이니치신문은 효과적인 지구온난화 해결 대책이 나오지 않으면, 2050년에는 맥주보리 수확량이 감소해 원자재 가격이 2022년 대비 7억7000만엔(72억5000만원) 상승할 우려가 있다고 예측했습니다. 맥주 공급량이 줄어들면서 가격이 올라, 500㎖당 400엔(3766원)이 오를 가능성까지 있다고 합니다. 맥주 한 캔이 거의 만 원 돈 하는 시대가 오게 되는 것이죠. 일본에서는 홋카이도를 중심으로 맥주보리가 자라니, 삿포로 맥주 입장에서는 비상 상황인 셈이죠. 또 맥주에 필요한 홉 생산지는 북쪽에서 재배할 수 있는 한계지점이 북위 55도로, 일본에서는 홋카이도처럼 추운 곳이 해당한다는데요. 홋카이도가 더워지고 있으니 비슷한 위도의 국가들도 마찬가지 상황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는 게 마이니치의 분석입니다.
이 때문에 삿포로 맥주에서는 다름 아니라 기후변화 대책에 착수했습니다. 맥주회사가 기후변화 대책 마련에 나선다니 신기하죠? 삿포로 맥주는 온난화나 폭우, 집중호우에 잘 견디는 보리와 홉 품종을 개량하는 육종에 힘쓰고 있습니다. 새 품종으로 원래 맛이 변하면 안 되니, 맛과 품종 개량 두 가지를 잡기 위해서 큰 노력을 하고 있다고 해요.
삿포로 맥주 본사 관계자는 기후변화로 맥줏값이 오르게 되면 "생맥주가 당연한 시대는 끝날지도 모른다"고 마이니치에 전했는데요. 기후변화로 우리의 소중한 한 잔이 없어지는 시대가 올 수 있다니.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가 온 것 같습니다.
전진영 기자 jintonic@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