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중소기업 R&D 예산 역대 최대
매출·투자 성과 중심으로 전환
창업부터 글로벌 진출까지 전주기 지원 강화
중소벤처기업부가 '돈 되는 연구개발(R&D)'을 바탕으로 중소기업 R&D 지원 체계를 새로 짠다. 논문이나 특허 중심의 성과에서 벗어나 시장성·사업성 중심으로 정책을 돌리고, 전주기 지원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중기부는 25일 서울 종로구 엔도로보틱스에서 '중소벤처 R&D 혁신방안 간담회'를 열고 내년도 R&D 사업 계획을 공유했다.
내년도 중소벤처 R&D 예산은 2조2000억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로 편성됐다. 창업 초기부터 스케일업과 글로벌 진출까지 단계별 맞춤 지원을 강화해 '시장 대응력이 빠른 중소기업'을 키우겠다는 비전이 담겼다.
한성숙 중기부 장관은 "중소벤처기업 R&D는 시장성과 사업성 위주로 개편할 것"이라며 "논문과 특허가 아니라 실제 시장에서 잘 팔리고 투자 매력이 있는 기술 중심으로 혁신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현장에서는 기업과 유관기관의 다양한 건의가 이어졌다. 함정율 울트라브이 전무는 "의료기기의 경우 기관 사정에 따라 공공 인증 취득이 기간 안에 마무리가 안 되는 경우가 있다"며 "현재 기간 연장이 3개월까지밖에 안 되는데 이를 유동적으로 연장해 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서동은 리플라 대표는 "신청서 제출을 간소화한 점이 매우 좋다"며 "서류를 내다보면 내용적으로 중복된 항목들이 있는데 이를 간소화하는 점도 검토해 주셨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상우 코리아스타트업포럼 의장은 "R&D 지원 사업에 주저하는 기업인들의 가장 큰 걱정이 기술 유출 우려"라며 "심사 과정에서 기업의 핵심 자산에 대해 노출된다는 점을 고려해 보호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중기부는 내년 2조2000억여원의 R&D 예산 중 팁스(TIPS) R&D 예산으로 1조1064억원을 배정했다. 기존의 창업지원 중심에서 스케일업과 글로벌 진출까지 성장 전주기 지원으로 확대한 게 특징이다.
대학·출연연 공공기술을 중소기업의 매출 창출로 연결하는 '한국형 STTR'도 신설한다. 기술·시장성을 우선 검증하고, R&D 성과가 우수한 과제에 투·융자, 수출, 마케팅 등 후속 사업화까지 맞춤형으로 지원하는 3단계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국가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 주력산업, 인공지능(AI)·바이오·탄소중립 등은 별도의 트랙을 만들어 지원할 계획이다. 지역 주력산업 육성 969억원, 중소기업의 인공지능(AI) 활용·확산 450억원, 바이오-AI 벤처와 제약기업 간 협업형 공동 R&D에 118억원이 지원될 예정이다.
사업 신청 단계에서 서류 제출을 최소화하고, 행정정보망을 통해 사후 확인하는 체계로 전환하는 등 기업 부담도 줄였다.
한 장관은 "우수한 기업이 가진 기술력이 시장에서 돈으로 평가받고 이 성과가 다시 R&D에 투자되는 선순환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며 "현장에서 나온 이야기를 정책에 적극 반영해서 '돈이 되는 R&D' 생태계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성민 기자 minut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