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머리에 구멍 뚫고, 뇌 뉴런 끊기도…통제 못할 '감정'과 싸운 인류 [이 책 어때]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이선 크로스 '감정의 과학 Shift'
마음 치료 역사는 곧 인류의 역사
"잉카인, 우울증 치료차 머리에 구멍 뚫기도"
비자발적 감정, 죄 없어...문제는 이후 선택
인간은 해결보다 익숙한 고통이 편한 존재
미 특수부대처럼 상황별 대처법 마련 도움

고대 잉카인은 두개골에 구멍을 뚫는 인류 최초의 외과 수술을 집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른바 '두개천공술'은 현대 의학 기준으로도 난이도와 위험성이 매우 높은 수술인데, 당시 사람들은 어떤 이유로 그런 위험을 감수했을까. 이 책은 그 이유를 "사람들의 감정 관리를 돕기 위해서"라고 설명하며, 감정 조절의 문제를 곧 인류 역사와 맞닿은 주제로 분석한다.

게티이미지

게티이미지

AD
원본보기 아이콘

저자는 미국 미시간대학교 심리학과와 로스 경영대학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며, 역사학자들의 추론을 근거로 고대 잉카인들이 두개천공술을 우울증이나 조증 같은 감정 조절 장애 치료에 활용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한다. 실제 역사 속에서도 감정을 다스리려는 인간의 노력은 매우 다채롭다. 머리에 거머리를 붙이거나 퇴마술을 시도했고, 17세기에는 불에 달군 쇠막대로 머리를 지졌다. 1949년에는 안구 뒤로 쇠막대를 넣어 뉴런의 연결을 끊는 방식으로 극단적 감정 상태를 치료하려 한 신경학자 안토니우 에가스 모니스가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하지만 윤리적·의학적 문제로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금지된 방법이다.


책은 이러한 감정 관리의 역사를 살펴본 뒤, 현대 의학이 감정을 어떻게 다루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핵심 중 하나는 부정적 감정을 느끼는 것이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옳고 그름의 문제로 볼 수 없다는 점이다. 예컨대 장애인 인권운동가가 중요한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지하철을 이용하다가 이동권 시위로 인해 불편을 겪을 경우, 즉각적으로 느끼는 짜증은 당연한 반응이라는 것이다. 다만 이후 장애인 권리 옹호를 위해 어떤 행동을 취할지는 또 다른 문제다. "공포는 반응이지만, 용기는 결정이다"라는 격언이 심리학계에서 널리 회자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즉각적인 느낌은 통제할 수 없지만, 그 이후의 감정 조절은 통제가 가능하다. 2000년 한 연구에서 대학 입학 예정자 437명을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40%가 "자신의 감정을 통제할 수 없다"고 답했다. 저자는 이에 대해 "감정 통제가 불가능한 것은 맞지만, 이는 감정 처리 과정의 첫 단계인 '트리거(trigger)'에만 해당한다"고 지적한다. 즉,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자극은 각기 다를 수 있지만, 감정이 지속될지 여부는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주변 세계를 통제하지 못한다. 그리고 감정이 생겨나는 것 자체도 통제할 수 없다. 하지만 이는 감정 방정식의 절반일 뿐이다. 불꽃이 저 혼자 타오를 수는 있지만, 일단 불이 붙으면 그 불을 끌지 더 부채질할지는 우리가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감정의 경로를 우리가 통제할 수 있다는 뜻이다."


1960년대 말 심리학자 앨버트 밴듀라가 진행한 뱀 실험은 감정 통제의 가능성을 잘 보여준다. 뱀 공포증이 심한 네 명의 피실험자는 처음에는 거울 너머로 뱀을 보는 것부터 시작해 차츰 뱀에 가까이 다가갔고, 결국 공포를 극복했다. 이를 통해 그들은 자신이 가진 감정 통제 능력을 자각했고, 이는 자기효능감의 상승으로 이어졌다. 이후 20여년간 2만2000명이 참여한 114건의 후속 실험에서도 자기효능감이 평균 28% 향상되는 결과가 확인됐다.


저자는 "부정적 경험은 반드시 정면으로 직면해야 한다"는 심리학계의 통념에 이견을 제시한다. 심리치료에 정답은 없으며, 상황에 맞는 접근만 가능할 뿐이라는 것이다. 그는 회피 역시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예로 NBA 리바운드 왕 데니스 로드먼이 심리적 부담을 덜기 위해 보여준 '악동' 같은 행동을 회피 전략의 사례로 제시한다.

또한 심리적 고통을 줄이는 방법으로 '최소 노동의 법칙'을 제안한다. 힘든 상황에서 새로운 해결책을 찾기보다, 오히려 익숙한 고통 속에 머무르려는 인간의 성향을 역으로 활용하라는 것이다. 미 해군 특수부대가 작전에 앞서 모든 시나리오에 대한 대응 계획을 세우듯, 예상되는 상황별 대처법을 미리 마련해 행동에 필요한 부담을 낮추는 것도 효과적이라고 설명한다. 1872년 뉴질랜드에서 시작된 '더니딘 프로젝트'는 이를 뒷받침한다. 1037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감정 조절 능력을 측정하고 50년간 추적한 결과, 감정 조절 능력이 뛰어난 아이들은 경제력·건강·노화 측면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머리에 구멍 뚫고, 뇌 뉴런 끊기도…통제 못할 '감정'과 싸운 인류 [이 책 어때] 원본보기 아이콘

반대로 그렇지 못한 경우 범죄, 중독, 건강 문제에 시달릴 확률이 높았다. 그러나 이는 타고난 기질 때문만은 아니다. 저자는 인간의 전두엽이 생각·느낌·감정을 통제할 힘을 가지고 있으며, 그 선택권은 개인에게 있다고 강조한다. 그는 심리학에 단일한 답이 존재한다는 주장, 또는 어떤 기준에 부합해야만 자유로워질 수 있다는 생각을 과감히 거부한다. 고통과 정면으로 맞서야 자유로워진다는 통념을 밀어내고, 사람·시기·환경에 따라 각기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전반적으로 저자의 주장은 탄탄한 근거와 사례로 뒷받침되지만, 일부 대목에서는 '조금 더 구체적이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감정의 과학 SHIFT | 이선 크로스 지음 | 왕수민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376쪽 | 1만9500원





서믿음 기자 faith@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