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성 전지현 대사에 中누리꾼 '혐중' 지적
디즈니+ 中내 서비스 안돼…'도둑 시청' 논란
드라마 '북극성' 속 배우 전지현의 대사와 관련해 중국 누리꾼들 사이에서 '혐중' 논란이 일자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중국 내 불법 시청 문제를 지적했다.
서경덕 교수는 24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최근 디즈니+ 드라마 '북극성' 속 배우 전지현의 대사로 인해 한중 누리꾼들이 설전을 벌이고 있다"며 논란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그는 "중국 누리꾼들이 드라마를 보고 드라마에 대한 각자의 의견을 표현하는 건 자유지만 디즈니+는 중국에서 정식 서비스되지 않고 있기에 훔쳐봤다는 것이 들통나고 말았다"며 "남의 콘텐츠를 먼저 도둑질했으면서 어떠한 부끄러움도 없이 생트집만 잡고 있는 꼴"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대사에 문제제기를 하고자 했다면 해당 대사를 내보낸 제작사나 디즈니+ 측에 항의하는 것이 맞다"며 "한국 콘텐츠가 전 세계에서 주목을 받다보니 물불 안 가리고 K콘텐츠 흠집내기에만 열을 올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중국에서는 넷플릭스와 마찬가지로 디즈니+가 공식적으로 서비스되지 않아 이번 논란 역시 불법 시청을 전제로 한 비판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북극성' 대사에 中 누리꾼 반발
디즈니+ 오리지널 시리즈 '북극성'은 전직 유엔대사 문주(전지현)가 대통령 후보 피격 사건의 배후를 추적하며 정체불명의 특수요원 산호(강동원)와 함께 한반도를 위협하는 거대한 음모에 맞서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논란이 된 장면은 4회에서 등장한다. 극 중 문주가 "중국은 왜 전쟁을 선호할까요. 핵폭탄이 접경지대에 떨어질 수도 있는데"라고 묻는 대사가 중국 누리꾼들의 반발을 샀다. 이들은 해당 발언이 "중국을 모욕했다"는 주장을 제기하며 비난을 이어갔다. 이 여파로 전지현이 모델로 활동하던 일부 중국 광고가 중단되면서 논란은 더욱 커졌다.
전지현 측은 이와 관련해 "중국 브랜드 광고 촬영 취소는 북극성 공개 이전에 이미 조율된 사안으로 작품과 무관하다"고 해명했다.
박은서 인턴기자 rloseo8@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