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10개국에 35개 설치…관리 강화 필요
백승아 "소녀상 훼손 방지법 조속히 통과"
최근 독일 베를린에 설치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를 상징하는 '평화의 소녀상'을 10월 7일까지 철거하라는 공식 명령이 내려진 가운데 전 세계 곳곳의 소녀상에 대해서도 철거 압박·훼손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3일 더불어민주당 백승아 의원(비례대표)이 여성가족부로부터 제출받은 '국내 및 해외 위안부 소녀상 설치 현황(정의기억연대 제공)'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위안부 소녀상은 국내에 155개, 해외에는 10개국에 35개 설치된 것으로 파악됐다.
국가별(한국 제외)로는 미국이 16개로 가장 많았고, 독일 5개, 일본 4개, 중국·필리핀·호주 각 2개, 홍콩·캐나다·이탈리아·스페인 각 1개 등이다.
지난해 여성가족부 국정감사에서도 위안부 소녀상 훼손 대책 및 관리·감독 강화 등을 요구하는 지적이 제기된 바 있다. 이에 따라 여성가족부는 평화의 소녀상에 대한 공적 관리 강화를 위해 지자체별 조형물 관리계획 수립 제출 의무 부과, 정기현황 점검실시, 홍보사업 실시 등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기억하기 위한 조형물 관리 방안'을 마련했다. 여가부는 또 지자체를 통해 현재 전국에 설치된 소녀상 정기 점검을 시행 중이다.
백 의원은 "해외 위안부 소녀상은 피해자들을 추모하고 전쟁범죄가 반복되지 않도록 하는 평화의 상징이다"며 "일본의 정치적 로비에 의해 철거되거나 극우세력에 의해 훼손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표 발의한 '위안부 소녀상 훼손 방지법'을 조속히 통과시켜 관리시스템을 제도화하겠다"고 밝혔다.
호남취재본부 강성수 기자 soostar@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