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국민 10명 중 9명 "편의점 안전상비약, 품목 수 늘려야"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안전상비약 시민네트워크 소비자 인식조사
2년 전 조사 때보다 20%포인트 이상 증가
"2012년 제도 도입 후 사실상 방치"
"정부·약사회 역할 더는 회피하지 말아야"

국민 10명 중 9명 이상이 현행 편의점 안전상비약 품목을 확대하는 데 동의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서울시내 한 편의점에 감기약 등 상비약이 비치돼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내 한 편의점에 감기약 등 상비약이 비치돼 있다.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안전상비의약품 접근성 강화를 위해 2023년 출범한 안전상비약 시민네트워크가 22일 발표한 '편의점 안전상비약 제도 개선을 위한 소비자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편의점 안전상비약의 품목 확대 필요성에 동의한 응답자는 2년 전 조사 때 62.1%에서 올해 85.4%로 증가했다. 국내 생산이 중단된 2개 품목의 교체 필요성까지 포함하면 응답자의 94.7%가 품목 확대 또는 교체를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8일부터 25일까지 전국 1087명의 국민들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현재 편의점 안전상비약 제도에 대해 국민들이 요구하는 개선안을 보다 명료하게 이재명 대통령과 보건복지부에 전달하는 것이 목표다. 1차 조사가 편의점 안전상비약 제도에 대한 국민의 인지도를 파악하고 제도의 효용성을 평가하는 기반이었다면, 2차 조사는 정부의 제도 운영 현황에 대한 국민의 문제의식과 품목 확대에 대한 요구를 구체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현재 국내 일반의약품은 4813종에 달하지만, 편의점에서 구입할 수 있는 안전상비약은 해열·진통제, 소화제, 감기약, 파스등 4개 효능군 11종에 불과하다. 반면 일본과 영국 등 해외에서는 약국 외 일반의약품판매 품목이 최소 120종에서 많게는 30만종에 달한다.


2023년 조사와 마찬가지로 품목 확대의 필요성에 동의한 응답자들은 '새 효능군 추가'(46.7%)와 '증상별 세분화'(44.0%)를 최우선 개선과제로 제시했다. 세부적으로는 ▲소아용 전용약(22.3%) ▲증상별 진통제(21.0%) ▲증상별 감기약(20.5%) 순으로 확대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설문조사를 시행한 소비자공익네트워크의 안혜리 사무국장은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39.7%가 '법 개정을 해서라도 20개 이상으로 편의점 안전상비약품목을 대폭 늘려야 한다'고 답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소비자들은 편의점 안전상비약의 품목 확대 전제가 '안전성'임을 명확히 인지하고 있었다"며 "적극적인 자기 건강관리를 위해 자가 판단을 통한 안전한 안전상비약 이용 역량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응답자의 64.3%는 '부작용이 적고 안전성이 높은 품목'을, 51.7%는 '오남용 위험이 낮은 품목'을 조건으로 꼽아 품목 확대의 전제는 안전성 확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또 소비자의 75% 이상은 "표시된 복용법·성분·효능 정보를 근거로 스스로 안전하게 복용할 수 있다"고 답했다.


김연화 안전상비약 시민네트워크 위원장은 "본 단체가 출범한 지 2년이 지났는데, 그동안 보건복지부와 국회에 안전상비약 품목 지정심의위원회 개최를 위한 민원을 수차례 제기하고, 대한약사회에 직접 대화도 시도했지만 어떠한 진전도 이룰 수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약사회가 '안전성 우려'를 이유로 품목 확대에 반대하고 있지만,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안전상비약은 국내 일반의약품 중 안전성 모니터링을 거쳐 엄격히 선별된 품목에서 선정된다"며 "이번 설문조사를 계기로 국민 수준에 걸맞은 제도의 발전 방안을 정부와 전문가 집단이 적극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안전상비약 시민네트워크는 이번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복지부와 국회 등에 정책 제안 활동도 진행할 방침이다.





김흥순 기자 sport@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