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부터 단체관광객 한시 무비자 입국 허용
결제 편의 개선·관광 상품 공동 개발 등 제안
중국 최대 휴가 기간인 국경절 연휴(10월 1∼8일)를 앞두고 우리 정부가 중국인 단체 관광객에 대해 한시적인 무비자 입국을 시행하기로 한 가운데, 이러한 정책이 성공하려면 한국이 결제 불편 등을 해결해야 한다는 중국 관영매체의 지적이 나왔다.
중국 관영 영문 매체 글로벌타임스는 22일 논평에서 "한국 정부가 중국인 단체 관광객에 대해 무비자 정책을 도입한 것은 한국 관광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매체는 "과거 한국을 방문한 중국 관광객들이 결제, 언어 장벽, 문화 적응을 포함한 불편을 겪었다"며 "이런 문제들이 여행 성수기인 국경절 연휴에 다시 나타난다면, 방문객의 만족에 직접 영향을 주고 정책이 가져온 호의를 훼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비자 면제 조치의 성공 여부는 관광객 유치뿐만 아니라 양국 간 산업 협력 심화에도 달려 있다"며 "핵심 영역은 국경 간 결제 편의성 증진"이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한중 양국은 이 분야에서 협력 기반을 갖추고 있지만 여전히 개선 여지가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한국의 문화 상품이 중국에서 인기가 있는 만큼 유명 영화·드라마 촬영 장소 등을 활용해 테마 관광을 개발해볼 수 있다는 의견도 내놓았다. 또 비자 면제 정책 시행으로 양국 간 여행 수요가 확대됨에 따라, 항공편 증대와 국경 간 금융 서비스 및 환전 협력 강화 등 더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이 가능하다고 짚었다.
우리 정부는 관광산업 활성화 등을 위해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시적 무비자 정책을 시행하기로 했다. 국내외 전담 여행사가 모객한 3인 이상 중국인 단체관광객은 오는 29일부터 내년 6월30일까지 최대 15일 범위에서 무비자로 한국 관광이 가능하다. 중국은 지난해 11월부터 한국인 여행객이 비자 없이 중국에 입국할 수 있게 하고 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지난해 460만여명으로,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전인 2019년 602만명의 76% 수준에 그쳤다. 정부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5년 만에 재개되는 중국 단체관광객의 무비자 입국 조치를 통해, 중국인 관광 수요가 늘어나면 침체에 빠진 내수 시장에도 활력이 생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서 한국은행은 "중국인 단체관광객이 100만명 늘어날 때마다 국내 국내총생산(GDP)이 0.08%포인트 상승할 수 있다"고 추산한 바 있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