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가 미국발 관세로 인해 2분기 합산 영업이익률이 2.1%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이미 관세율이 낮아진 일본 도요타가 시장점유율 확대 전략을 펼칠 경우 현대차·기아엔 영업 압박 부담이 될 것이란 관측이다. 다만 한미 관세협상 합의로 향후 관세 여파는 점점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차·기아의 신용도 등급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이라는 평가다.
김영훈 한국신용평가 수석애널리스트는 22일 오후 '탈 자유무역 시대, 글로벌 무역질서 재편과 산업별 영향' 웹캐스트에서 자동차 부문을 주제로 이같이 발표했다.
김 수석애널리스트는 "대부분의 완성차 업체는 미국 내 판매물량의 30~50%를 미국 외 지역에서 생산 중"이라며 현대차·기아의 미국 판매량 3분의2 상당인 67%가 관세 여파에 노출돼있다고 진단했다.
2분기를 기준으로 현대차와 기아의 관세부담은 각각 8282억원, 7860억원으로 파악된다. 그는 "양사 합산 영업이익률이 10.3%에서 8.2%로 2.1%포인트 감소 효과가 있었다"며 "우호적환율효과 및 고가의 하이브리드차량 판매 확대에도 불구하고, 이익기여도가 높은 미국 시장에서 관세부과로 이익창출력이 약화했다"고 지적했다.
앞서 한미관세협상 합의로 자동차 관세율이 25%에서 15%로 하향될 예정이지만 적용시점은 미정인 상태다. 김 수석애널리스트는 "추후 관세 영향 감소가 예상된다"면서도 "행정명령이 다소 지연되고 있어 단기간 내에는 어려울 것이다. 3500억달러 대미투자 관련, 최종타결의 불확실성이 존대한다"고 평가했다.
다만 업체별 영향을 비교해봤을 때 "미국 내 생산비중이 낮은 한국 기업의 관세영향이 클 것이라는 예상과 다르게, 미국 생산비중이 높은 포드 등 현지업체 실적 저하 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면서 그 원인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멕시코 및 캐나다산 수입 비중, 미국 생산물량에 대한 수입 철강 등 원자재 가격 상승을 꼽았다. 그는 "관세율 25%가 적용된 2분기 실적 여파를 봤을 때, 현대차와 기아는 관세 부담이 감내 가능한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아울러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미국 내 자동차 및 부품 생산 비중을 높이는 과정에서 자동차업체들의 비용부담이 커질 것이라며 멕시코, 캐나다 의존도가 높은 일본과 미국 업체의 부담이 더 가중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 밖에 전기차,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중심으로 중국 브랜드가 급성장하고 있어, 중국발 과잉생산에 따른 출혈 경쟁 역시 글로벌 업황 위협 요인이 될 것으로 우려했다.
이날 김 수석애널리스트는 현대차·기아의 대응전략으로 하이브리드 성장, 지역 포트폴리오 강화를 꼽았다. 그는 "관세 부과로 실적 저하는 불가피하지만 이는 업권 공통 요인"이라며 "관세 우려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이익창출력과 경쟁 우위를 바탕으로 관세 리스크에 대응할 것"이라고 봤다.
또한 미국발 관세 불확실성이 여전히 남아있지만 신용도 등급에 미치는 영향 역시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경쟁업체들의 실적이 흔들리는 시점이 현대차·기아의 기술확보 골든타임"이라고 강조했다.
김 수석애널리스트는 일본 도요타의 관세율이 인하되면서 현대차·기아가 경쟁구도에서 불리해진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는 "현재까진 도요타 평균 판매가격이 현대차보다 높았다"면서 "도요타가 시장점유율 확대 전략을 펼칠 경우 영업 압박 부담이 될 수 있다"고 경계했다. 그러면서도 앞서 현대차측이 관세를 반영한 큰 폭의 가격인상은 없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던 점을 언급하며 "수익성 영향은 있을 수 있으나, 가격 역전은 없을 것"이고 덧붙였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