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블룸버그 칼럼]감정의 정치, 전후 질서를 해체하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정치 감정 확산에 격해진 세계
세력 간 충돌 부추기는 SNS 정치
정치·경제 자유화에 극단주의 성행

[블룸버그 칼럼]감정의 정치, 전후 질서를 해체하다
AD
원본보기 아이콘

지난주 세계 곳곳에서 드러난 장면들은 정치의 정서적 과열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런던 시위에 화상으로 등장한 일론 머스크는 "폭력이 다가오고 있다. 맞서 싸우든 죽든 둘 중 하나"라고 극단적 발언을 쏟아냈다. 집회를 주도한 이는 폭행과 사기로 여러 차례 유죄를 받은 이른바 '토미 로빈슨'이라 불리는 극우 인사였다. 스페인에서는 친팔레스타인 시위대가 마드리드 도심 결승선을 점거해 '부엘타 아 에스파냐' 자전거 대회 마지막 구간이 취소됐다. 미국에서는 우파 활동가 찰리 커크의 피살을 축하하거나 정당화하는 글이 소셜미디어에 퍼졌고, 이에 대한 처벌 요구 캠페인이 이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급진적 좌파 미치광이들이 판치고 있다. 놈들을 두들겨 패야 한다"고 말했다.


세계 정치의 정서적 온도는 이미 절정에 달했다. 분노는 연민을 몰아내고, 자기 의로움은 토론을 질식시키고 있다. 감정은 이제 이성을 덮어버리며, 한때 냉철한 전문가들의 영역으로 여겨졌던 외교 정책 같은 분야마저 잠식하고 있다. 감정은 일반 시민들을 공적 공간으로부터 멀어지게 만드는 요인으로도 작용한다. 최근 영국 유권자 여론조사에서 60%는 정치로 인해 분노하며, 55%는 두려움을, 80%는 좌절감을 느낀다고 밝혔다.

왜 감정이 정치를 지배하게 됐을까. 가장 단순한 답은 경제 침체와 불평등 심화에서 출발한다. 소셜미디어는 해로운 시각을 가진 사람들에게 발언권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평범한 시민들마저 사건이 전개되는 즉시 감정적인 반응을 쏟아내도록 부추긴다. 선거 전문가들은 상대를 악마화하고 유권자들의 투표 의지를 꺾는 '네거티브 캠페인' 기술을 완성 단계까지 끌어올렸다. 러시아를 비롯한 적대 세력은 증오와 원한을 부추기는 것이 적국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효과적인 수단임을 간파했다.


그러나 나는 한 가지 다른 설명을 제시하고 싶다. 오늘날 감정이 폭발한 것은 1980년대 이후 서구 사회가 앞다퉈 채택한 정책들이 낳은 의도치 않은 결과라는 점이다. 이 정책들은 본래 기업가 정신을 억누르는 장벽을 제거하려던 목적으로 도입됐지만, 그와 동시에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공들여 세워온 정치적 감정의 안전장치마저 허물어버리는 부작용을 낳았다.


오늘날처럼 정치적 감정들이 날것 그대로 분출된 마지막 시기는 1930년대였다. 당시 대공황은 분노의 파도를 몰고 왔고, 막강한 독재자들은 이 분노를 양분 삼아 권력을 장악했다. 스페인의 뛰어난 사상가 호세 오르테가 이 가세트는 "모든 지식을 대체하려 드는 광란적이고 과도한 정치"의 도래를 우려했다.

전후 체제의 최대 목표는 감정을 다시 통제하고, 또 그것이 다시는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감정의 감옥'을 구축하는 것이었다. 이를 가장 명확하게 설계한 인물이 존 메이너드 케인스다. 그는 이를 "정치의 안락사"라고 불렀다. 케인스가 몰아내고자 했던 자유민주주의의 3개의 적은 위험, 불확실성, 무지였다. 독일 기독민주당은 "실험은 없다", "1970년대의 안전(safe in the 1970s)" 같은 구호를 내걸고 안전을 앞세운 선거운동을 펼쳤다.


전후 정치인들은 경기 침체를 완화하기 위한 케인스식 수요관리와 자본주의의 거친 단면을 다듬은 복지국가적 개입 정책을 결합해 '과열 정치'에 대한 수요를 완화했다. 동시에 감정 정치가 주류로 떠오르지 못하도록 제도적 장벽을 세웠다. 독일은 나치식 정당과 홀로코스트 찬양 표현을 금지했고, 유럽연합은 권력을 국민에게 아래로 분산시키기보다 기술관료에게 위로, 사법부에 옆으로 이양했다. 유럽의회는 민주주의에 대한 마지못한, 반쪽짜리 양보에 불과했다.


지난 50년간 정치의 주된 흐름은 '정치를 안락사시키려 했던 체제'의 해체였을 것이다. 세계 각국 기술관료들은 본래는 비관주의에 뿌리를 둔 신중한 정책을 이상주의에 물든 열광적 정책으로 바꿔버리는 데 무의식적으로 일조함으로써 본인의 임무를 오해했다. 브뤼셀의 관료들도 책임이 크다. 그들은 유럽연합을 확장하는 동시에 통합을 심화시키는 정책을 펼쳤다. 즉 더 가난한 국가들을 받아들이면서 이동의 자유까지 제도화하는 길을 택한 것이다. 정치를 식히기 위한 제도가 정치를 달구는 도구로 전락한 것이다.


그러나 '정치의 안락사'를 되돌리는 작업은 상당 부분 의도적이었다. 정치 개혁가들은 당 지도부의 권한을 평범한 정치인과 활동가들에게 넘겼고, 경제 개혁가들은 생산요소의 전 세계적 이동을 가로막던 장벽을 걷어냈다. 프리드리히 하이에크는 자신의 경제학 공식이 작동하려면 정치의 '해방'이 반드시 '구속'과 병행돼야 한다고 했지만, 대부분의 국가는 은행의 독립성만 받아들이고 정치적 구속 장치는 마련하지 않았다. 그 결과 경제와 정치의 해방이 동시에 진행되며 조너선 라우치가 말한 '혼돈의 정치'의 토대가 쌓였다.


경제 자유화는 애초에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제한적 조치였으나, 역설적으로 정체성 정치의 확산을 불러왔다. 빈곤층의 대규모 이주와 서구 제조업 일자리 붕괴가 겹치며 정치적 불만이 커졌고, 전통 정치 기구가 무너진 탓에 분노한 대중이 기성 정당을 장악하기 쉬워졌다. 과거 '밀실 정치'의 시대였다면 도널드 트럼프의 공화당 접수나 리즈 트러스의 토리당 대표 선출은 상상조차 어려웠을 것이다.


이미 풀려난 '감정의 정치'라는 요정을 다시 병 속에 가둘 수 있을까. 소셜미디어 규제는 도움이 될 수 있다. 과거에는, 심지어 미국에서도, 라디오나 TV를 규제 없이 도입하는 것은 상상조차 어려웠다. 불법 이민 통제 역시 나이절 패라지나 마린 르펜 같은 인물들을 막기 위해 필수적이다. 그러나 오늘날 미국 정치에 대한 빅테크의 영향력이 워낙 막강해 소셜미디어 규제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더구나 앞으로의 이민만 관리하는 것은 반쪽짜리 해법에 불과하다. 이미 유입된 이민자들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한다면, 문제 해결은 요원하다.


우리는 개별 현안 해결에 그치지 않고 정치 속 날것의 감정을 제어할 제도적 장치를 다시 세워야 한다. 그러나 지난 수십 년간 그것을 허물어온 탓에 이 과정은 필연적으로 더딜 수밖에 없다. 동시에 '두려움의 정치'를 직시하되 영합한다는 비판을 감수하면서도 굴복하지 않는 섬세한 균형이 필요하다. 감정의 정치는 빠르고 격렬하다. 찰리 커크 피살 이후 마가(MAGA) 진영이 곧바로 좌파 악마화로 반응한 것이 단적인 사례다. 반대로 감정을 억제할 장치의 재건은 느리고 지루하다. 막스 베버의 표현대로 이는 '천천히 구멍을 뚫는 작업'에 가깝다.


나는 이것이야말로 1930년대의 비극을 되풀이하지 않는 길이라고 확신한다. 루스벨트 대통령은 "우리가 두려워해야 할 것은 오직 두려움 그 자체"라고 말했지만, 오늘날 우리가 경계해야 할 감정은 분노, 증오, 원한, 질투, 두려움까지 훨씬 더 많다. 이들은 인터넷 선동가, 선거 전략가, 외국 세력에 의해 교묘히 조작되고 있다. 이를 통제하는 일은 뉴딜 시대의 두려움 극복이 그랬듯 오늘날 자유주의의 핵심 과제가 돼야 한다.


에이드리언 울드리지 블룸버그 칼럼니스트


이 글은 블룸버그의 칼럼 The Politics of Emotion Are Dismantling the Postwar Order를 아시아경제가 번역한 것입니다.



※이 칼럼은 아시아경제와 블룸버그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게재되었음을 알립니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