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직장서 무시당하면 잠못자더니"…'불면증 위험 1.5배' 연구결과 사실로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세브란스 연구, 사회적 지지 낮으면 불면증↑

직장에서 상사나 동료에게 존중받지 못하는 근로자는 불면증에 걸릴 위험이 최대 1.5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단순히 수면의 질만이 아니라 직무 만족도와 전반적인 정신 건강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다.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불면증 사진. 픽사베이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불면증 사진. 픽사베이

AD
원본보기 아이콘

22일 세브란스병원 예방의학교실 윤진하 교수 연구팀은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이 실시한 '제6차 근로환경조사'에 참여한 근로자 1만9394명(남성 9046명, 여성 1만348명)을 대상으로 직장 내 사회적 지지 수준과 불면증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사회적 지지 정도를 ▲상사와 동료의 존중 여부 ▲업무에 도움이 되는 피드백 제공 ▲업무 관련 고민을 경청하는 태도 등으로 측정했다. 이후 이를 평균값을 기준으로 '높음' 그룹과 '낮음' 그룹으로 나눠 불면증 유병률을 비교했다.

분석 결과 사회적 지지가 낮은 그룹(3148명)에서 불면증 환자 비율은 390명(12.3%)에 달했다. 반면 사회적 지지가 높은 그룹(1만6224명)에서는 6.2%로 절반 수준에 그쳤다. 전체 근로자 중 불면증 환자는 1391명(7.2%)이었다.


연령, 소득, 근로시간, 흡연, 음주 등 불면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외부 요인을 보정한 뒤에도 차이는 뚜렷했다. 사회적 지지가 낮은 근로자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불면증 위험이 1.47배 높았으며 성별로 구분했을 때 남성은 1.71배, 여성은 1.34배 각각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직장에서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남녀 모두 불면증 유병률이 유의미하게 높았다"며 "특히 직무 만족도가 낮으면 불면증 위험이 더 커질 수 있으므로 사회적 지지와 직무 만족도를 높이는 개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은서 인턴기자 rloseo8@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