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 연구, 사회적 지지 낮으면 불면증↑
직장에서 상사나 동료에게 존중받지 못하는 근로자는 불면증에 걸릴 위험이 최대 1.5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단순히 수면의 질만이 아니라 직무 만족도와 전반적인 정신 건강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다.
22일 세브란스병원 예방의학교실 윤진하 교수 연구팀은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이 실시한 '제6차 근로환경조사'에 참여한 근로자 1만9394명(남성 9046명, 여성 1만348명)을 대상으로 직장 내 사회적 지지 수준과 불면증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사회적 지지 정도를 ▲상사와 동료의 존중 여부 ▲업무에 도움이 되는 피드백 제공 ▲업무 관련 고민을 경청하는 태도 등으로 측정했다. 이후 이를 평균값을 기준으로 '높음' 그룹과 '낮음' 그룹으로 나눠 불면증 유병률을 비교했다.
분석 결과 사회적 지지가 낮은 그룹(3148명)에서 불면증 환자 비율은 390명(12.3%)에 달했다. 반면 사회적 지지가 높은 그룹(1만6224명)에서는 6.2%로 절반 수준에 그쳤다. 전체 근로자 중 불면증 환자는 1391명(7.2%)이었다.
연령, 소득, 근로시간, 흡연, 음주 등 불면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외부 요인을 보정한 뒤에도 차이는 뚜렷했다. 사회적 지지가 낮은 근로자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불면증 위험이 1.47배 높았으며 성별로 구분했을 때 남성은 1.71배, 여성은 1.34배 각각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직장에서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남녀 모두 불면증 유병률이 유의미하게 높았다"며 "특히 직무 만족도가 낮으면 불면증 위험이 더 커질 수 있으므로 사회적 지지와 직무 만족도를 높이는 개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은서 인턴기자 rloseo8@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