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자 소지자들, 갑작스런 규정 변경 혼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전문직 비자(H-1B)' 수수료를 1인당 10만달러로 인상하기로 하면서 주요 기술 기업들이 해당 비자를 소유한 직원들에게 미국에 머물 것을 요구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와 구글, 아마존 등은 직원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19일 밝힌 새로운 비자 규정이 발효되기 전에 미국으로 돌아오고 출국 계획을 취소하라고 통보했다.
새 규정 발표 이후 논란이 커지자, 백악관은 대폭 인상되는 이번 수수료가 신규 비자에만 적용되고 기존 비자 소지자의 미국 출입국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밝혔지만, 이번 제도의 적용과 집행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기업들에 혼란과 불안이 확산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MS는 지난 19일 트럼프 행정부 발표 이후 자사의 H-1B 비자 직원들에게 "당분간 미국 내에 체류해야 한다"고 안내했다. 또 MS는 추가 이메일을 통해 직원들에게 백악관의 설명이 "현재 중요한 개인 사유로 해외에 있는 동료들의 귀국을 보장할 것"이라면서도 "향후 며칠간 입국장에서 일부 혼선이 있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비자 소지자들은 갑작스러운 규정 변경에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영국에서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으로 이주해 새 엔지니어링 직장을 시작하려던 34살의 로런스는 행정명령 서명 시점에 이미 이주 절차를 마친 상태였다. 그러나 그는 회사의 이민 변호사들로부터 "추가 정보를 기다리며 영국에 머물라"는 조언을 들었다고 전했다. 구글의 한 직원도 가족 방문을 위해 계획했던 도쿄 여행을 백악관 발표 이후 취소했고, 아마존은 H-1B 소지자의 배우자와 자녀에게 발급되는 H-4 비자 보유자들에게도 미국에 머물 것을 권고했다.
미국 이민국(USCIS)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2025 회계연도 들어 올해 6월30일까지 가장 많은 H-1B 비자를 할당받은 기업은 아마존으로 1만44명에 달한다. 이어 인도 뭄바이에 본사를 둔 정보기술(IT) 서비스·컨설팅 기업 타타 컨설턴시(5505명)가 두 번째로 많고, MS(5189명)와 메타(5123명), 애플(4202명), 구글(4181명)이 뒤를 이었다.
이승형 기자 trust@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