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이걸 다이소에서 왜 사냐" 무시했는데…소비자 눈길 끌고 '대박'났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최근 생활밀착형 유통채널인 '다이소'가 합리적 소비를 중시하는 젊은 세대의 새로운 선택지로 떠오르면서 유통업계의 판도를 흔들고 있다.

또 다이소가 일상생활 중 부담 없이 방문할 수 있는 생활 밀착형 채널이라는 점에서 기존 유통망과는 전혀 다른 '즉시 소비·즉시 피드백'의 구조가 가능하다는 점은 기업들에도 매력적이다.

이미 일부 기업은 다이소를 통해 신제품을 선보이며 소비자 반응을 빠르게 수집하고 있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체험 가능케 한 제품 앞세워 매출 급증
소비자·판매자 모두 '실험실'로 활용해

최근 생활밀착형 유통채널인 '다이소'가 합리적 소비를 중시하는 젊은 세대의 새로운 선택지로 떠오르면서 유통업계의 판도를 흔들고 있다.


서울 양천구 다이소 이마트목동점. 강진형 기자

서울 양천구 다이소 이마트목동점. 강진형 기자

AD
원본보기 아이콘

21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다이소에 입점한 뷰티 브랜드 수는 약 100개로, 지난해 말 60개와 비교하면 66% 증가했다. 제품 수는 500여종에서 800여종으로 크게 늘었다. 다이소 화장품 매출은 ▲2021년 52% ▲2022년 50% ▲2023년 85% ▲2024년 144% 전년 대비 신장하며 가파르게 성장해왔다. 올해 6월까지만 보더라도 벌써 전년 대비 매출 신장률은 110%로 증가했다.

다이소가 화장품을 취급하기 시작한 초반까지만 해도 소비자 관심은 크지 않았다. 가격이 저렴한 탓에 품질에도 영향이 있을 것이란 인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인식이 급변하기 시작한 건 '리들샷'(VT 리들샷 앰플)과 같은 상품을 출시하면서부터다. 본래 5㎖ 기준 3만원대에 판매되던 제품을 2㎖ 스틱형 6개 묶음으로 용량을 줄이고, 포장을 간소화해 3000원에 선보이면서 다이소는 그야말로 대박을 터뜨렸다. 여기에 '손앤박 컬러밤', '메이필 랩핑 마스크' 등이 연이어 호평받으며 꾸준한 매출 증가세를 보였다.


"이걸 다이소에서 왜 사냐" 무시했는데…소비자 눈길 끌고 '대박'났다 원본보기 아이콘

다만 다이소의 성장세는 단순히 가격 경쟁력만으로 설명하긴 어렵다. MZ세대(밀레니얼+Z세대)를 중심으로 소비 트렌드가 '소유'에서 '경험'으로 옮겨가면서 소용량·낮은 가격의 화장품은 '한 번 써 보기 좋은' 수단이 된 셈이다. 전문가들은 다이소의 전략이 이 지점을 정확하게 파고들었다고 보고 있다.


또 다이소가 일상생활 중 부담 없이 방문할 수 있는 생활 밀착형 채널이라는 점에서 기존 유통망과는 전혀 다른 '즉시 소비·즉시 피드백'의 구조가 가능하다는 점은 기업들에도 매력적이다. 이미 일부 기업은 다이소를 통해 신제품을 선보이며 소비자 반응을 빠르게 수집하고 있다. 또 어린 소비자에게 저렴한 가격대로 제품을 선보인 뒤 추후 이들이 상위 제품을 사용하도록 유인해볼 수도 있다. 소비자와 마찬가지로 판매자도 다이소를 '작은 실험실'로 활용하는 셈이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다이소가 브랜드 론칭 플랫폼으로까지 진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점치고 있다.

다이소의 성장 흐름을 봤을 때 유통은 단순히 물건을 파는 공간을 넘어 소비자와 브랜드가 가까이서 소통하는 경험의 공간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구나리 기자 forsythia26@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